Blog 116

중국 명청 왕조의 황제무덤군 명효릉(明孝陵)

明孝陵 Imperial Tomb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ombes impériales des dynasties Ming et Qing 명나라 건국 황제 주원장(朱元璋, 1328-1398)과 마황후(馬皇后, 1332-1382)의 공동 묘지로, 명나라 초기 건축기술과 석조 예술을 엿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건조물이다. 난징시에 있는 가장 큰 황실릉으로 2003년 7월 3일 제27차 유네스크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1381년 착공 1405년 완공(25년 동안 공사) 1853년 전쟁으로 목조건축물은 대부분 파괴됨 명효릉 금수교(明孝陵金水桥) 웅중로 효릉신도의 두번째 부분으로 한쌍의 맞기둥, 두쌍의 무관, 두쌍의 문관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길이는 250미터이..

세계유산 2022.07.03

2022년 문화재돌봄사업 분임워크숍 강연 후기

중앙문화재돌봄센터 개최하는 문화재돌봄활동별 상호 간 이해 제고 및 공감대 형성 증진을 위하여 3회에 걸쳐서 전국에서 시행된 「2022년 문화재돌봄사업 분임워크숍」에 "문화재와 나무"라는 주제를 의뢰받아서 강연하게 되었다. 그 동안 머릿속에 기억되었던 것들과 몸소 현장에서 조사한 사례를 중심으로 급하게 자료를 만들었다. 준비시간이 부족했지만 그 동안 접하기 쉬지 않는 외국 고 목재들의 이야기와 국내 목재 문화재들에 대해 천천히 살펴보고자 노력했다. 마지막으로 문화재에 쓰인 수종(나무의 종류)에 간단히 짚고 넘어갔다. 서울 2022년 5월 12일(목) 광주 2022년 5월 26일(목) 부산 2022년 6월 23일(목) 좋은 기회와 함께 강연 사진을 보내주신 중앙문화재돌봄센터에 감사를 드립니다.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환공재 Ring-porous Wood 공권 Pore Zone 공권 1렬 : 음나무 공권 1~2열: 느티나무 공권 3~5열: 밤나무, 다릅나무, 물푸레나무 공권외 배열 1. 산재상배열: 물푸레나무, 옻나무, 오동나무 등 2. 방사상배열, 화염상배열 및 문양상 배열: 밤나무, 잣밤나무, 신갈나무 등 3. 접선상배열, 파상배열 및 사상배열: 팽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아까시나무, 음나무 등 대표 수종 가래나무과(Juglandaceae) 굴피나무속 공권 2~3열, 공권외 접선상배열, 단천공, 나선비후, 망상/짧은접선상유조직, 이성 3형 방사조직, 3~5열, 능형결정 가래나무속 반환공재, 주로 고립관공, 단천공, 목섬유가 박벽, 도관상호간 벽공이 매우 작음, 짧은접선상/망상유조직, 동성형 방사조직, 3~5열 ..

[즐겨찾기] 온라인 지도 모음

https://www.mapbox.com/gallery/ Gallery Browse our collection of maps to see what's possible with Studio. www.mapbox.com https://opentopomap.org/#map=7/35.331/126.552 OpenTopoMap - Topographische Karten aus OpenStreetMap opentopomap.org https://www.openstreetmap.org/export#map=7/37.099/129.397&layers=Y 내보내기 | 오픈스트리트맵 OpenStreetMap은 여러분과 같은 사람들이 만들어, 개방형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세계 지도입니다. www.opens..

R실습_지도 만들기(2)_마커

## 데이터 GPX 좌표 입력 ## gps % as_tibble ## 공원별로 색 변경하기, code필드를 이용한 구분 ## pal % setView(lng=126.9784, lat=37.566, zoom=11) %>% addProviderTiles('CartoDB.Positron') %>% addCircles(lng=~long, lat=~lat, color=~pal(Code)) ## 기초 원본, 원표시 + 미니맵 ## l % setView(0,0,1) esri % addLayersControl(baseGroups = names(esri), options = layersControlOptions(collapsed = FALSE)) %>% addMiniMap(tiles = esri[[1]], toggleD..

[천연기념물] 보은 서원리 소나무(정부인송)

정부인송(정이품송의 부인) 위치 :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서원리 49-4 지정 : 1988년 뿌리에서 두 갈래의 수간(큰 줄기)가 굵직하게 휘어 오르며 가지들이 마치 춤추는 여인의 치마폭처럼 드넓게 펼쳐져 있다. 곧고 굵은 두 가지는 힘이 넘치고 아직도 젊은 혈기를 보여주는 느낌이 든다. 알려진 바로는 600년정도 추정하고 있지만, 경험으로 미루어 볼때 400년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보은 속리산 법주사와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길이라면 이곳 서원리 소나무도 들려볼만 하다. 길가에 있어 쉽게 다가설 수 있고, 우리나라 소나무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다.

천연기념물 2021.12.10

[동향 봉안불상] 동향을 바라보는 부처님

인도 불교에서는 불상(부처님)이 서쪽에 앉아서 동쪽을 바라보는 것은 일반적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건물의 전면을 향하는 봉안방식을 흔히 볼 수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팔작지붕 주심포 양식 1916년 해체수리를 하면서 발견된 묵서 기록에 의해 1376년에 재건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방 극락정보를 다스리는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수인이 항마촉지인을 하여 석가모니불이라는 의견도 있음)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팔작지붕 다포 양식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뒤 1651년(효종 2년)에 각순대사가 대웅전, 영산전, 대적광전 등을 재건되었다고 한다. 대광보전의 현판은 표암 강세황(김홍도의 스승)이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82년(정조 6년) 마곡사에 큰 불이 나서 법당 등 1,050칸이 소실되었으며 178..

불교문화 2021.09.19

아산 맹씨행단(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민가 건물_고려시대)

아산에 있는 맹씨 집안 고택 속 은행나무가 있는 행단 아산 맹씨행단 고려말부터 조선초기 유명한 재상으로, 세종대에 좌의정을 역임한 맹사성의 개인집이다. 고려말기 장군이었던 최영(1316-1388)이 짓고 살았던 집을 손자사위였던 맹사성이 물려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1330년(충숙왕 17년) 2월 17일에 지은 것으로 '맹씨세적'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이 기록에 따르면 최영 장군이 15세의 나이에 지은 것으로 볼 수 있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대청마루 종도리 받침장혀 묵서에 따르면 성화 18년(1482년) 10월 초육일에 상량했으면 집주인 맹석준이 향을 바꾸어 입주 상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청마루 후면 중도리 묵서에 따르면 기묘년(1759년) 8월 29일 봉순'과 함께 편수 한봉심, 홍돌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