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과

- 소나무속(Pinus)
- 약 115종 
- 카타야속(Cathaya)
- 전 세계에서 단일종으로 중국에서 자생 
- 가문비나무속(Picea)
- 약 35종 
- 미송속(Pseudotsuga, 더글라스퍼)
- 5종 
- 잎갈나무속(Larix)
- 14종 
- 노토츠가속(Nothotsuga)
- 전세계 : 1종(중국에서 자생)
- 长苞铁杉(장포철삼, 중국명), Bristlecone hemlock(영어)으로 불림
- 멸종위기종 
- 솔송나무(Tsuga)
- 전세계 : 10종
- 한반도 자생 수종 : 솔송나무(Tsuga ulleungensis – Ulleungdo hemlock, 울릉도에 분포) 
- 황금낙엽송속(금전송속,  Pseudolarix)
- 전세계 : 1종(중국 동부에 자생) 
- 전나무속(Abies)
- 약 50종 
- 유삼나무속(Keteleeria)
- 3종
- 중국 중부와 남부, 대만, 베트남, 라오스 북쪽 
- 개잎갈나무속(Cedrus)
- 4종(분류학자에 따라서 2종으로도 분류된다)
- 개잎갈나무(히말라야산맥), 레바논시다(지중해 연안), 아틀라스개잎갈나무(모로코, 알제리), 단엽레바논시다(키프로스) 
□ 소나무과 해부학적 분류
| 과 | 아과 | 속 | 아속 | 목재 해부학 특징 | 
| 소나무과 Pinaceae 232종  | 
소나무아과 (Pinoideae)  | 
소나무속 (Pinus屬)  | 
소나무아속(Pinus亞屬) | 수지구, 창상벽공, 거치상비후(●) | 
| 잣나무아속(Strobus亞屬) | 수지구, 창상벽공, 거치상비후(X) | |||
| 가문비나무아과 (Piceoideae)  | 
가문비나무속 (Picea屬)  | 
수지구, 가문비형벽공(20-5), 방사가도관 벽공연이 각형이거나 거치상비후 존재 | ||
| 잎갈나무아과 (Laricoideae)  | 
잎갈나무속 (Larix屬)  | 
수지구, 가문비형/편백형벽공(2-5), 인덴쳐, | ||
| 미송속 (Pseudotsuga屬)  | 
수지구, 가문비형/편백형벽공, 나선비후 | |||
| 전나무아과 (Abietoideae)  | 
전나무속(Abies屬) | 삼나무형벽공(2-4), 인덴쳐 | ||
| 솔송나무속(Tshga屬) | 가문비형/편백형/삼나무형벽공(2-4), 축방향유세포(종말상), 방사가도관 존재 | |||
| 개잎갈나무속(Cedrus屬) | 가문비형/편백형/삼나무형벽공(1-4), 축방향유세포(종말상) | 
소나무과(Pinaceae)의 이전 분류 체계
<출처: Frankis(1989)와 Farjon(1990)에 의한 솔방울과 종자 특성에 따른 구별>
| 과(Family) | 아과(Subfamily) | 속(Genus) | 
| 소나무과(Pinaceae) | 소나무아과(Pinoideae) | 소나무속(Pinus) - 약 126종 | 
| 가문비나무아과 (Piceoideae) | 가문비나무속 (Picea) - 약 35 종 | |
| 잎갈나무아과 (Laricoideae) | 카타야속/카타이아속 (Cathaya) - 단일종 | |
| 잎갈나무속 (Larix) - 약 14 종 | ||
| 미송속 (Pseudotsuga) - 5 종 | ||
| 전나무아과 (Abietoideae) | 전나무속 (Abies) - 약 50 종 | |
| 개잎갈나무속 (Cedrus) - 2~4 종 | ||
| 황금낙엽송속 (Pseudolarix) - 단일종 | ||
| 케텔레에리아속 (Keteleeria) - 3 종 | ||
| Nothotsuga - 단일종 | ||
| 솔송나무속 (Tsuga) - 9 종 | 
반응형
    
    
    
  '목재식별학 > 침엽수 식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0) | 2020.02.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