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천연기념물] 보은 서원리 소나무(정부인송)

    [천연기념물] 보은 서원리 소나무(정부인송)

    정부인송(정이품송의 부인) 위치 :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서원리 49-4 지정 : 1988년 뿌리에서 두 갈래의 수간(큰 줄기)가 굵직하게 휘어 오르며 가지들이 마치 춤추는 여인의 치마폭처럼 드넓게 펼쳐져 있다. 곧고 굵은 두 가지는 힘이 넘치고 아직도 젊은 혈기를 보여주는 느낌이 든다. 알려진 바로는 600년정도 추정하고 있지만, 경험으로 미루어 볼때 400년 정도 되지 않을까 싶다. 보은 속리산 법주사와 국립공원을 방문하는 길이라면 이곳 서원리 소나무도 들려볼만 하다. 길가에 있어 쉽게 다가설 수 있고, 우리나라 소나무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다.

    [스크랩] '무주 한풍루'·'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지정 예고

    무주 한풍루에 대한 목재 연륜 연대 분석에서 16~17세기 중수 당시 기둥과 창방 등 주요 목부재가 확인되어 진정성 있는 복원이 이뤄졌다는 점, 임진왜란 전후의 중수와 복설, 일제강점기 훼철될 위기에 있던 건물을 원래 모습과 자리로 되찾으려 한 무주군민의 애환이 담긴 점, 우리나라 몇 안 되는 중층 관영 누각으로 17세기 시기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점 등 역사, 건축,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420_0001412581 '무주 한풍루'·'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지정 예고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무주 한풍루'(茂朱 寒風樓)와 경기도 유형문화재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揚州 檜岩寺址 舍利..

    경복궁과 자금성의 단순 비교

    경복궁과 자금성의 단순 비교

    경복궁 景福宮 (길이 길이 크게 복을 누린다, Gyeongbokgung Palace) 자금성 紫禁城 (성벽을 둘러친 도시, Forbidden City) 초창 영건기간 1394-1395 1406-1420 주요특징 왕궁 담장으로 공간을 분리 3문3조(정문에서 법전까지 3개 문을 지나야 함) 황궁 해자를 만들어 공간을 분리 5문3조(정문부터 법전까지 5개 문을 지나야 함) 동서 길이 570미터(뒷편) 760미터 남북 길이 850미터 960미터 면적 약 46만여 제곱미터 79만여 제곱미터 주요 재료 소나무, 화강암 녹나무(?), 대리석

    2006,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2006,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에는 조선시대 숙종(肅宗, 1661 ~ 1720년) 때부터 '황장봉산'을 지정하여 고급 목재를 생산하기 위에 특별히 관리하였다. 황장목(黃腸木)은 목재의 심이 누렇다는 뜻 그대로, 소나무 중에서 황색의 심재부분이 넓고 하얀색의 변재가 좁으며 나이테가 조밀한 특성을 갖으므로 목재의 재질이 균일하여 최고의 목관재로 사용하였다. 황장목은 바로 조선시대 임금의 목관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목재로 옛부터 매우 귀하게 여겨왔다. 바로 울진 소광리는 황장봉산 중에서 지금까지 거수(巨樹)가 잘 남아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이곳은 소나무의 유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인에게 비공개하였다가 2007년 무렵부터 공개를 시작하였다. 공개하기 전 년도에 우리는 울진 소광리 소나무 및 통고산 지역 소나무에 ..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침엽수재는 씨가 겉으로 들어나 겉씨식물 중에서 구과식물(Conifers, 솔방울 달리는 나무), 은행나무(Ginkgo biloba), 암보렐라(Amborella trichopoda, 최초의 속씨식물)이 포함한다. 침엽수재는 일반적으로 수분의 이동과 지지기능을 함께 하는 양끝이 뾰족하게 막힌 가늘고 긴 파이프 형태의 헛물관(가도관, Trachieds)이 90% 이상으로 이루어졌다. Christenhusz et al. (2011) 겉씨식물(gymnosperm, 나자식물문)의 분류체계에 의한 유전자분석 자료와 형태자료를 기반으로하여 나자식물을 4아강 8목 12과로 구분하였다. 구분 아강(Subclass) 목(Order) 과(Family) - 소철아강 Cycadidae 소철목 Cycadales 소철과(Cycad..

    정이품송

    정이품송

    Songni Jeongipumsong Pine Tree in Boeun, South Korea Natural Monument No.103 / 천연기념물 103호 The pine tree called "Jeongipumsong" is the most famous tree in South Korea. It is Natural Monument 103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Its height is 14.5 m and its girth is 4.77 m. This pine tree used to be beautiful with the shape of a conical hat or an umbre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