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륜연대
chatGPT 첫 만남
뻔한 질문을 해보았다. HMJ : what is dendrochronology ChatGPT : Dendrochronology is the scientific method of dating tree rings to the exact year they were formed. This method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many species of trees, the size of the annual growth ring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ainfall, and available moisture. In dendrochronology, the study of tree rings, also ..
[스크랩] 속초 보광사 목조지장보살 좌상
속초시 동명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보광사 법당내 목조지장보살 좌상의 수종과 연륜연대 분석을 의뢰해 조사하던 중 불상내부에 봉안돼 있던 조선시대 중기(15∼17세기) 유물 20여점을 발견했다. 복장물 중 발원문에는 “甲午(갑오) 八月二十九日(팔월이십구일) 金剛山安養庵(금강산안양암)”이라고 쓰여 있어 갑오년(1654년)에 금강산 화암사 안양암에서 불상이 조성됐음을 알 수 있다.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81543 조선중기 불교 유물 20여점 발견 속초지역 한 사찰내 불상에서 중국 명나라 황실에서 보낸 불교경전 등 복장유물 20여점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속초시 동명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 www.kado.net
[스크랩] '무주 한풍루'·'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지정 예고
무주 한풍루에 대한 목재 연륜 연대 분석에서 16~17세기 중수 당시 기둥과 창방 등 주요 목부재가 확인되어 진정성 있는 복원이 이뤄졌다는 점, 임진왜란 전후의 중수와 복설, 일제강점기 훼철될 위기에 있던 건물을 원래 모습과 자리로 되찾으려 한 무주군민의 애환이 담긴 점, 우리나라 몇 안 되는 중층 관영 누각으로 17세기 시기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점 등 역사, 건축,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420_0001412581 '무주 한풍루'·'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지정 예고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무주 한풍루'(茂朱 寒風樓)와 경기도 유형문화재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揚州 檜岩寺址 舍利..

연륜연대분석에 기반한 방사성탄소연대 보정곡선 제작 원리
1949년 시카고대학교의 리비교수는 탄소14의 반감기가 5568년으로 계산하여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을 고안하였다. 1977년 가속기를 이용한 질량분석기는 탄소14 측정의 최대 장애요소인 동일 무게를 갖는 질소14가 음이온을 형성하지 않는 가장 큰 이점을 발견되어 급격하게 발전하게 되었고, 기존방식에 비해 시료의 양도 1,000배나 적게 필요하므로 유기물에서 기원한 시료의 연대측정법으로 일반화되었다. 우리나라는 1998년 서울대 공동기기원에서 국내 최초로 3MV 가속기 질량분석기가 도입되어, 1mg(탄소량 기준)의 적은 시료량으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우리나라에서는 2번째로 지질자원연구원에서 1MV 가속기 질량분석기가 구축되었다. 한반도 방사성탄소연대보정곡선 구축은 한국지질자원..

2006,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그리고 대장경판(팔만대장경)
해인사 장경판전(海印寺 藏經板殿)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국보 제52호 / 세계유산 가야산 중턱에 위치한 해인사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장경인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Tripitaka Koreana, 흔히 팔만대장경이라고 불리웠음)을 약 750여년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이 있는 삼보사찰 중 법보 사찰이다. 팔만대장경은 어려서부터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국보 1호 숭례문보다 더 자주 듣는 단어가 아닐까 싶다. 아니 그 어떤 문화유산보다 가장 많이 듣고 사랑스럽게 생각하는 문화유산임이 틀림없다. 대장경은 불교의 경전으로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구성은 부처님..

2006,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에는 조선시대 숙종(肅宗, 1661 ~ 1720년) 때부터 '황장봉산'을 지정하여 고급 목재를 생산하기 위에 특별히 관리하였다. 황장목(黃腸木)은 목재의 심이 누렇다는 뜻 그대로, 소나무 중에서 황색의 심재부분이 넓고 하얀색의 변재가 좁으며 나이테가 조밀한 특성을 갖으므로 목재의 재질이 균일하여 최고의 목관재로 사용하였다. 황장목은 바로 조선시대 임금의 목관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목재로 옛부터 매우 귀하게 여겨왔다. 바로 울진 소광리는 황장봉산 중에서 지금까지 거수(巨樹)가 잘 남아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이곳은 소나무의 유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인에게 비공개하였다가 2007년 무렵부터 공개를 시작하였다. 공개하기 전 년도에 우리는 울진 소광리 소나무 및 통고산 지역 소나무에 ..

2006. 목재문화재의 수종과 연륜연대에 관한 학술대회
일시: 2006년 3월 18일(토) 13:30 ~ 18:00 장소: 국립대구박물관 시청각실 목재조직 특성과 목질문화재의 수종분석(경북대 박상진 명예교수) 법주사 대웅보전 목가구재의 연륜연대 및 수종분석(충북대 박원규 교수) 2006년에 박상진 교수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박상진 교수님은 1990년 무령왕릉의 목관재가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금송으로, 미상은 목재편 1점이 삼나무임을 밝히며 일반인들에게 목재과학자로써 가장 유명하시고, 목재조직학이라는 학문의 기반을 다지졌다. 지금까지도 대학교에서 교재로 쓰고 있는 '목재 조직과 식별'의 공저자이시다. 또한, 목재 및 수목에 관한 수많은 교양도서를 집필하셔서 전공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소중한 지식을 전해주시고 계신다.

첫 현장조사, 국보 1호 숭례문
2005년 숭례문 정밀실측조사 제2차 연륜연대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가 첫번째 출장이었다. 연구실 막내의 삶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숭례문은 당시 석축 하부를 발굴하며 초기 숭례문의 기단이 1m 이상 아래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이때 철엽문에 대한 연륜연대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렇게 숭례문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연륜폭측정기 (Tree-ring width meeasurement)
연륜연대기를 만들기 위해서 나이테에서 얻을 수 있는 활용인자는 다양하다.기본적인은 연륜폭, 밀도, 동위원소비, 블루인텐지티 등 다양한 인자를 측정하여 연륜연대기를 작성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표준연대기(정확한 생육연도가 부여된 연대기, 나이테마다 생장한 년도를 정확히 파악해서 만들어진 연대기)를 만든다. 전통적이고 가장 기본적인 인자는 바로 연륜폭이다. 매년 나무가 자란 연륜의 생장량 측 나이테폭을 1/100mm 혹은 1/1000mm 단위로 측정하여 하나의 연륜폭패턴(혹은 연륜폭연대기)를 그래프로 작성한다. 이때 하나의 연륜에서 다음 연륜까지의 생장폭은 최단거리를 선정하여 측정하면 된다. 매년 나이테폭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면 바로 하나의 나이테폭패턴이 생기는 것이다.연륜폭측정 방식은 실체현미경에서 나이테를 ..
속리산국립공원 소나무의 집단 쓰러짐의 원인을 규명한 연륜연대
2014년에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에 속리산국립공원으로부터 속리산 여적암 전도된 소나무의 원인 규명을 의뢰받았다. 당시 여적암 지역은 계곡부 능선으로 고사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60m X 60m의 조사범위를 설정하고 연륜연대법을 이용하여 고사년도, 생장쇠퇴 및 이벤트(외부 환경요인)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속리산국립공원 여적암에서 묘봉으로 가는 계곡 능선을 따라서 송진 채취로 상처 난 소나무가 즐비하다. 연륜연대를 통해서 상처 난 연도는 역으로 추적한 결과 송진 채취시기는 1954년부터 1964년까지 약 11년간이었다. 송진채취 부위별로 자세히 조사해보니 송진의 채취방법이 수목의 아랫부분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채취하였다. 능선을 따라서 소나무들이 집단으로 전도된 원인도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