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터

    소프트웨어 한글 깨짐, 윈도우 폰트 설정법

    소프트웨어 한글 깨짐, 윈도우 폰트 설정법

    윈도우 10 설정하는 방법 > 설정 > 시간 및 언어 > 지역 탭 클릭 > 국가 또는 지역: 한국, 사용지역 언어: 한국어(대한민국) 선택 > 추가 날짜, 시간 및 국가별 설정 클릭 > 날짜, 시간 똔느 숫자 형식 변경 클릭 > 형식 탭 --- 형식: 한국어(대한민국), 관리자 옵션 탭 --- 설정복사 클릭, 시스템 로캘변경 클릭 후 세계 언어 지원을 위해 Unicode UTF-8 사용 미체크

    [ggplot2] 간트차트 만들기(연대기차트) Gantt/timeline chart

    [ggplot2] 간트차트 만들기(연대기차트) Gantt/timeline chart

    연륜연대분석 결과를 쉽게 표현하기 위해 새롭게 간트차트를 활용해서 그래프를 작성 그래프에서 표현하고자 항목은 1. 심변재 구분 2. 연륜수 3. 최외각연륜 표기 library(ggplot2) library(ggalt) library(dplyr) setwd("c:/R/1400_R_Timeline/") den % mutate(name=factor(name, levels=c(" ", rev(name), " "))) -> den treerings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환공재 Ring-porous Wood 공권 Pore Zone 공권 1렬 : 음나무 공권 1~2열: 느티나무 공권 3~5열: 밤나무, 다릅나무, 물푸레나무 공권외 배열 1. 산재상배열: 물푸레나무, 옻나무, 오동나무 등 2. 방사상배열, 화염상배열 및 문양상 배열: 밤나무, 잣밤나무, 신갈나무 등 3. 접선상배열, 파상배열 및 사상배열: 팽나무, 느티나무, 느릅나무, 아까시나무, 음나무 등 대표 수종 가래나무과(Juglandaceae) 굴피나무속 공권 2~3열, 공권외 접선상배열, 단천공, 나선비후, 망상/짧은접선상유조직, 이성 3형 방사조직, 3~5열, 능형결정 가래나무속 반환공재, 주로 고립관공, 단천공, 목섬유가 박벽, 도관상호간 벽공이 매우 작음, 짧은접선상/망상유조직, 동성형 방사조직, 3~5열 ..

    [즐겨찾기] 온라인 지도 모음

    https://www.mapbox.com/gallery/ Gallery Browse our collection of maps to see what's possible with Studio. www.mapbox.com https://opentopomap.org/#map=7/35.331/126.552 OpenTopoMap - Topographische Karten aus OpenStreetMap opentopomap.org https://www.openstreetmap.org/export#map=7/37.099/129.397&layers=Y 내보내기 | 오픈스트리트맵 OpenStreetMap은 여러분과 같은 사람들이 만들어, 개방형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세계 지도입니다. www.opens..

    R실습_지도 만들기(2)_마커

    R실습_지도 만들기(2)_마커

    ## 데이터 GPX 좌표 입력 ## gps % as_tibble ## 공원별로 색 변경하기, code필드를 이용한 구분 ## pal % setView(lng=126.9784, lat=37.566, zoom=11) %>% addProviderTiles('CartoDB.Positron') %>% addCircles(lng=~long, lat=~lat, color=~pal(Code)) ## 기초 원본, 원표시 + 미니맵 ## l % setView(0,0,1) esri % addLayersControl(baseGroups = names(esri), options = layersControlOptions(collapsed = FALSE)) %>% addMiniMap(tiles = esri[[1]], toggleD..

    R 실습_능동형 지도 제작 with OSM

    R 실습 능동형 지도에 위치정보를 표시하기 leaflet 패키지를 활용 #데이터 분석에 유용한 여러 패키지 모음(ggplot2, tibble, tidyr, readr, dplyr, purrr, stringr, forcats) install.packages('tidyverse') install.packages('leaflet') library('tidyverse') library('leaflet')

    소나무과(pinaceae) 계통 분류(4아과 11속)

    소나무과(pinaceae) 계통 분류(4아과 11속)

    소나무과 소나무속(Pinus) - 약 115종 카타야속(Cathaya) - 전 세계에서 단일종으로 중국에서 자생 가문비나무속(Picea) - 약 35종 미송속(Pseudotsuga, 더글라스퍼) - 5종 잎갈나무속(Larix) - 14종 노토츠가속(Nothotsuga) - 전세계 : 1종(중국에서 자생) - 长苞铁杉(장포철삼, 중국명), Bristlecone hemlock(영어)으로 불림 - 멸종위기종 솔송나무(Tsuga) - 전세계 : 10종 - 한반도 자생 수종 : 솔송나무(Tsuga ulleungensis – Ulleungdo hemlock, 울릉도에 분포) 황금낙엽송속(금전송속, Pseudolarix) - 전세계 : 1종(중국 동부에 자생) 전나무속(Abies) - 약 50종 유삼나무속(Ketel..

    연륜연대분석에 기반한 방사성탄소연대 보정곡선 제작 원리

    연륜연대분석에 기반한 방사성탄소연대 보정곡선 제작 원리

    1949년 시카고대학교의 리비교수는 탄소14의 반감기가 5568년으로 계산하여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을 고안하였다. 1977년 가속기를 이용한 질량분석기는 탄소14 측정의 최대 장애요소인 동일 무게를 갖는 질소14가 음이온을 형성하지 않는 가장 큰 이점을 발견되어 급격하게 발전하게 되었고, 기존방식에 비해 시료의 양도 1,000배나 적게 필요하므로 유기물에서 기원한 시료의 연대측정법으로 일반화되었다. 우리나라는 1998년 서울대 공동기기원에서 국내 최초로 3MV 가속기 질량분석기가 도입되어, 1mg(탄소량 기준)의 적은 시료량으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우리나라에서는 2번째로 지질자원연구원에서 1MV 가속기 질량분석기가 구축되었다. 한반도 방사성탄소연대보정곡선 구축은 한국지질자원..

    QGIS : 사용자 정의 좌표계, 국립공원 좌표 수정

    사용자 정의 좌표계 수정본 5181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150 +y_0=499400 +ellps=GRS80 +towgs84=0,0,0,0,0,0,0 +units=m +no_defs 사용자 정의 좌표계 수정본 5174 +proj=tmerc +lat_0=37.9972 +lon_0=127.0034902777778 +k=1 +x_0=1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통계의 기본개념 #1, 자료와 변수 개념

    자료(DATA) 양적 자료(정성적 자료, Quantitative data) 정의 :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 예제 : 수고, 흉고직경, 나이테폭, 기온, 습도 등 분석방법 : 평균, 분산, 편차 등 수식을 통하여 산출함 질적 자료(정량적 자료, Qualitative data) 정의 :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데이터 예제 : 지역, 사이트명, 수종, 계절 등 분석방법 : 주로 빈도수(frequency)를 이용함 자료의 구성 개체(Item) 연구 대상 수목 요인(Factor) 개체의 특성들의 집합 수목의 생장량, 날씨 변수(Variable) 요인을 구성하는 요소들 수목의 나이테폭, 수령, 시간, 온도, 습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수(원인변수, 설명하는 변수..

    노르르담 대성당, 화재 후 복원을 위한 목재연구 추진 현황

    노르르담 대성당, 화재 후 복원을 위한 목재연구 추진 현황

    2019년 4월 15일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비극적인 사건으로 프랑스 국민은 물론이고 과학계도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 비극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한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연구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다. 이는 2008년 국내에서도 큰 충격을 안겨주었던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사건과 화재의 원인만 다를뿐 화재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국민의 감정은 동일하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RNS, The French National Center for Scientific Research)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복원을 위한 가능한 분야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으며, 복원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및 협력을 위한 '노트르담 대성당의 복원 위한 과학자협회(https://www.scientifiqu..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연도 계산법은 주 예수그리스도의 탄생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서력기원(약칭, 서기)이다. 로마자 약어로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AD 1로 표기하며, AD는 Anno Domini (주의 해)로 뜻하는 라틴어의 약자이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나기 전을 BC로 표기하는데 영어 Before Chris의 약자이다. 최근에는 종교적 중립을 위하여 기원후를 CE(공통시대, common Era)로 표기하며 기원후를 BCE(공통시대 이전, before Common Era)로 표기하고 있다. BP년도(Before Present)는 1950년을 기준으로 계산한여 몇년 전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고고학, 지리학 등 다양한 과학에서 과거에 대한 연도를 계산할 때 사용되고 있다. 1940년대 미국..

    2006, 서울역사박물관 목가구 조사

    2006, 서울역사박물관 목가구 조사

    한달기간동안 4차에 걸쳐서 서울역사박물관 수장고에 소장된 목제유물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목제유물은 훼손을 하지 않고 나이테를 조사해야되므로 다양한 장비를 사용되었다. 특히, 목재 표면 촬영하는 방법에 접사촬영과 내시경장비로 구석구석 촬영하였다. 옛부터 우리 실생활에서 가장 많은 부분에서 재료로 사용된 목재는 정말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세월의 흔적이 가득담긴 목제품의 향기...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침엽수재는 씨가 겉으로 들어나 겉씨식물 중에서 구과식물(Conifers, 솔방울 달리는 나무), 은행나무(Ginkgo biloba), 암보렐라(Amborella trichopoda, 최초의 속씨식물)이 포함한다. 침엽수재는 일반적으로 수분의 이동과 지지기능을 함께 하는 양끝이 뾰족하게 막힌 가늘고 긴 파이프 형태의 헛물관(가도관, Trachieds)이 90% 이상으로 이루어졌다. Christenhusz et al. (2011) 겉씨식물(gymnosperm, 나자식물문)의 분류체계에 의한 유전자분석 자료와 형태자료를 기반으로하여 나자식물을 4아강 8목 12과로 구분하였다. 구분 아강(Subclass) 목(Order) 과(Family) - 소철아강 Cycadidae 소철목 Cycadales 소철과(Cycad..

    2006, 충북도 산림과학박물관(미동산 수목원)

    2006, 충북도 산림과학박물관(미동산 수목원)

    충청북도 청주시 미원면 미동산수목원 내에 위치한 산림과학박물관이 개관하기 전에 소장하고 있는 목제유물(목판, 농기구, 도구, 나막신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금 보아도 건물은 제법 근사하게 잘 지었다. 수집된 목제유물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박물관에서 많은 노력해서 산림에 대한 좀 더 상세하고 잘 표현된 전시공간을 조성하였던 것 같다. 2017년에는 공립 전문과학관으로 지정되었다고 하니, 근처를 지나가신다면 꼭 들려 볼 만하다.

    2006. 목재문화재의 수종과 연륜연대에 관한 학술대회

    2006. 목재문화재의 수종과 연륜연대에 관한 학술대회

    일시: 2006년 3월 18일(토) 13:30 ~ 18:00 장소: 국립대구박물관 시청각실 목재조직 특성과 목질문화재의 수종분석(경북대 박상진 명예교수) 법주사 대웅보전 목가구재의 연륜연대 및 수종분석(충북대 박원규 교수) 2006년에 박상진 교수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박상진 교수님은 1990년 무령왕릉의 목관재가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금송으로, 미상은 목재편 1점이 삼나무임을 밝히며 일반인들에게 목재과학자로써 가장 유명하시고, 목재조직학이라는 학문의 기반을 다지졌다. 지금까지도 대학교에서 교재로 쓰고 있는 '목재 조직과 식별'의 공저자이시다. 또한, 목재 및 수목에 관한 수많은 교양도서를 집필하셔서 전공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소중한 지식을 전해주시고 계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