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목조 건축

    아산 맹씨행단(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민가 건물_고려시대)

    아산 맹씨행단(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민가 건물_고려시대)

    아산에 있는 맹씨 집안 고택 속 은행나무가 있는 행단 아산 맹씨행단 고려말부터 조선초기 유명한 재상으로, 세종대에 좌의정을 역임한 맹사성의 개인집이다. 고려말기 장군이었던 최영(1316-1388)이 짓고 살았던 집을 손자사위였던 맹사성이 물려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1330년(충숙왕 17년) 2월 17일에 지은 것으로 '맹씨세적'에 기록되어 있다. 다만, 이 기록에 따르면 최영 장군이 15세의 나이에 지은 것으로 볼 수 있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대청마루 종도리 받침장혀 묵서에 따르면 성화 18년(1482년) 10월 초육일에 상량했으면 집주인 맹석준이 향을 바꾸어 입주 상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청마루 후면 중도리 묵서에 따르면 기묘년(1759년) 8월 29일 봉순'과 함께 편수 한봉심, 홍돌이, ..

    대구 팔거산성 목곽고

    □ 팔거산성(대구광역시 기념물) 현황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산1-1번지 일월 - 특징 : 함지산(해발 287.7m) 정상부에 축조된 산정식 산성 □ 발굴기관: (재)화랑문화재연구원 □ 발굴결과 - 석축(石築) 7기, 추정 집수지(集水池) 2기, 수구(水口) 등의 유구 - 삼국시대 목간 16점 출토 (6세기대 축조된 목수지와 신라 목간이 대구지역에서 최초로 출토) □ 추진경과 - 지표조사 : 2015년 - 시굴조사 : 2018년 - 발굴조사 : 2020년 10월부터 ~ □ 집수지 현황 - 크기 : 길이 8.5m, 너비 4.9m 규모의 평면 장방형(바닥 면적 41.8㎡로 산출) - 구조 : 기둥목, 횡판목, 지대목을 사용하여 축조된 목곽형 □ 집수지 목부재 보존처리 계획 - 부재수량 : 약 1..

    문화재수리업체 수리능력평가

    업데이트 : 2021. 8. 문화재수리업체(종합-보수단청업) 수리능력평가액 (주)태원건설 10,623,352 송도건설(주) 10,361,141 명헌건설㈜ 10,332,630 세헌건설(주) 9,680,320 (주)진수종합건설 8,850,918 주식회사 대륜건설 8,752,325 선혜종합건설(주) 8,341,682 (주)우리문화 8,317,555 주식회사 한들 8,273,639 화성종합건설(주) 7,728,383 이도건설산업 주식회사 7,452,404 신진종합건설(주) 7,138,281 ㈜우리종건 7,039,427 (주)미주건설 6,968,109 금명종합건설(주) 6,835,440 (주) 장청 6,709,471 ㈜선재 6,583,149 (주)성익 6,399,832 ㈜일토종합건설 6,398,749 (주)현영종..

    경기도 사찰건축 문화재 목록

    지정종목 문화재명 유형 연대 비고 보물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보물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보물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보물 안성 칠장사 대웅전 보물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물 안성 석남사 영산전 보물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보물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보물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보물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보물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보물 여주 신륵사 조사당 보물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보물 여주 하리 삼층석탑 보물 여주 창리 삼층석탑 보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국보 여주 고달사지 승탑 보물 파주 공효공 박중손묘 장명등 보물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보물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보물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보물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사찰건축 불전 문화재 목록

    List of Buddhist sanctum in South Korea 사찰(寺刹, Buddhist temple) : 승려와 신자들이 거처하면서 불도를 닦고 교리를 설파하는 건축물 혹은 그 소재 영역 - 상가람마(samaghrama) : 산스크리트어, 수행자들의 모임을 뜻하는 상가(samgha)와 거주처를 뜻하는 아라마(arama)가 합쳐진 용어 불교사원(佛敎寺院) 불전(佛殿, Buddhist sanctum) : 본존 및 보살, 호법선신 등을 봉안하는 건물 금당(金堂) : 인도에서 부처님을 빛이 나는 인물이라 하여 부처님을 모신 건물 종목 명칭 소재지 주요연대 비고 국보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전라남도 강진군 국보 영천 거조사 영산전 경상북도 영천시 국보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상북도 안동시 국보 영주 부석..

    경복궁과 자금성의 단순 비교

    경복궁과 자금성의 단순 비교

    경복궁 景福宮 (길이 길이 크게 복을 누린다, Gyeongbokgung Palace) 자금성 紫禁城 (성벽을 둘러친 도시, Forbidden City) 초창 영건기간 1394-1395 1406-1420 주요특징 왕궁 담장으로 공간을 분리 3문3조(정문에서 법전까지 3개 문을 지나야 함) 황궁 해자를 만들어 공간을 분리 5문3조(정문부터 법전까지 5개 문을 지나야 함) 동서 길이 570미터(뒷편) 760미터 남북 길이 850미터 960미터 면적 약 46만여 제곱미터 79만여 제곱미터 주요 재료 소나무, 화강암 녹나무(?), 대리석

    2006,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그리고 대장경판(팔만대장경)

    2006,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그리고 대장경판(팔만대장경)

    해인사 장경판전(海印寺 藏經板殿)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국보 제52호 / 세계유산 가야산 중턱에 위치한 해인사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장경인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Tripitaka Koreana, 흔히 팔만대장경이라고 불리웠음)을 약 750여년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이 있는 삼보사찰 중 법보 사찰이다. 팔만대장경은 어려서부터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국보 1호 숭례문보다 더 자주 듣는 단어가 아닐까 싶다. 아니 그 어떤 문화유산보다 가장 많이 듣고 사랑스럽게 생각하는 문화유산임이 틀림없다. 대장경은 불교의 경전으로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구성은 부처님..

    2006, 서산 개심사 대웅전

    2006, 서산 개심사 대웅전

    보물 143호 瑞山 開心寺 大雄殿 마음을 연다는 뜻의 개심(開心)사는 충남 서산시 운산면 상왕산 자락에 위치한다. 개심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에 다포식 건축물로 크지 않는 건물이다. 특히, 공포을 구성하는 살미(건물 정면으로 길게 나오는 부재)의 앙서가 아래로 큰 곡을 갖고 있다. 내게 유독 눈에 보이는 것은 대웅전 왼쪽편 뒷 언덕에 향나무 한그루가 있다. 가늘게 길게 쭈욱 하늘을 서있다. 대웅전 이력 개심사 대웅보전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건물은 1484년(성종 15년) 중수하여 전해지며, 그 이후로 1644년(인조 22년) 중창, 1910년(숙종 36년), 1941년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남겨져 있다. 2016년에 다시 찾아간 서산 개심사 대웅전

    2006,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2006,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은 건물의 이력은 1105년 원진국사가 중창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효종 5년(1654년) 2월 8일에 화재에 의해 전소되고 그 이듬해 1655년 중건(상량문 종도리 묵서)하였다. 영조 49년(1773년)에 중수하였고, 1935년 주지 장호운이 수리하였다. 2005년에 지붕기와 누후와 퇴락으로 누수가 발생하고 추녀가 처지는 현상으로 보수공사가 시행되었으며, 수종 및 연륜연대 측정을 위해 총 117점의 시료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655년에 중건되었을 당시의 기둥, 보, 도리, 장여 등 주요 부재가 남아있었으며, 1675~1678년 사이에 지붕부의 수리가 있었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첫 번째 벌채연대는 최외각 절대연도가 1651년(만재)~1654년(만재)으로 주요 구조재인 보, 기둥, 도리..

    첫 현장조사, 국보 1호 숭례문

    첫 현장조사, 국보 1호 숭례문

    2005년 숭례문 정밀실측조사 제2차 연륜연대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가 첫번째 출장이었다. 연구실 막내의 삶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숭례문은 당시 석축 하부를 발굴하며 초기 숭례문의 기단이 1m 이상 아래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이때 철엽문에 대한 연륜연대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렇게 숭례문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창덕궁 인정문 (Injeongmu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인정문 (Injeongmu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인정문 | 昌德宮 仁政門보물 813호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다포양식, 이력1405 창덕궁 창건1592 임진왜란으로 창덕궁 전소1610 창덕궁 중건1744 인정문 소실1745 인정문 중건1926 인정문 개조1993 인정문 복구 Injeongmu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영화당 (Yeonghwadang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영화당 (Yeonghwadang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영화당 | 昌德宮 暎花堂정면 5칸, 측면 3칸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치기도 했던 왕의 휴식공간으로 후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이력1692년 재건(숙종 2년) Yeonghwadang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주합루(Juhamnu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주합루(Juhamnu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주합루 | 昌德宮 宙合樓 보물 제1769호정면 5칸, 측면 4칸 중층건물 이력1776년 창건(정조 즉위년) 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Juhamnu Pavilion in Changdeokgung Palace is a two-story building built in the palace’s rear garden as a storage facility for the writings produced by the king.

    창덕궁 향원정(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향원정(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부용정 | 昌德宮 芙蓉亭보물 제1763호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의 누각, 열 십(十)자 모양으로 구성 이력1792 택수재를 헐고 개축하여 부용정이라 칭함2011-2012 부용정 지붕해체 보수 연륜연대분석 결과- 17세기 초 부재(서측대공1, 남측대공2, 적심누리개) : 절대연도 1464-1612- 18세기 말 부재(동서종도리, 남쪽승두, 북쪽승두, 계자각, 추녀1, 추녀4) : 절대연도 1636-1788- 1860년대 부재(추녀2, 남북종도리, 적심누리개) : 절대연도 1721-1860 방사성탄소연대분석 결과- 19세기 (부용정 지정말목) : 1915-1930 출처 : 2012, 창덕궁 부용정 해체실측수리보고서 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