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정의 | 비고 | |
불상(여래상) | 부처[如來]의 존상 | ||
석가모니불상 釋迦牟尼佛 Sakyamuni |
산스크리트어 '샤카무니(Śākyamuni)'란 '샤카(Śaka)족(族)의 성인'이란 뜻 석굴암 불상이 우리나라 최고의 석가불상. |
수인[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 선정인(禪定印), 항마인(降魔印), 전법륜인(轉法輪印)] | |
비로자나불상 毘盧遮那佛 vairocana |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 『화엄경』의 교주. 불국사의 금동비로자나불(국보 제26호)이 대표적인 불상 |
수인(지권인(智拳印)) | |
아미타불상 阿彌陀佛 Amitāyus Buddha |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한다는 부처. 무량수불(無量壽佛):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높여 이르는 말. |
수인[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 극락전(極樂殿) |
|
약사불상 藥師佛 Bhaisajyaguru |
동방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에 있으면서 모든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재앙을 소멸시키는,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약사신앙의 부처. 경전에서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도 부른다.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이 협시 |
왼손에 약단지 약사전(藥師殿) |
|
미륵불상 彌勒佛 |
미래에 사바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부처 국보 제83호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미륵전(彌勒殿), 용화전(龍華殿) | |
53불 | |||
천불 | |||
삼천불 | |||
사방불(四方佛) | |||
오방불(五方佛) |
보살상 菩薩像 |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사람의 총칭인 보살은 `보리살타(산스크리트 Bodhisattva, 한자로 菩提薩埵라 음역)`의 약칭. 세간과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성자(聖者). 대승불교의 대표. |
||
문수보살상 文殊菩薩 Manjusri |
많은 복덕과 반야지혜를 상징하는 보살. 석가불의 협시보살상(왼쪽) |
||
보현보살상 普賢菩薩 Samantabhadra |
부처의 행원을 대변하는 보살. 중생들의 목숨을 길게 하는 덕을 가졌으므로 보현연명보살 또는 연명보살(延命菩薩)이라고도 한다. 석가불의 협시보살상(오른쪽) |
||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Avalokiteśvara |
자비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고 왕생의 길로 인도하는 불교의 보살. 종류: 33관음 ·11면관음 ·수월관음 ·천수천안관음(千手千眼觀音)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상(왼쪽) |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으며 손에는 버드나무가지 또는 연꽃을 들고 있고 다른 손에는 정병 | |
세지보살 勢至菩薩 |
서방 극락세계에 있는 지혜 및 광명이 으뜸인 보살.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상(오른쪽) |
||
미륵보살상 彌勒菩薩 |
미래불로 신앙하는 보살. 미륵보살이 도솔천에 머물다가 다시 태어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먼 미래를 생각하며 명상에 잠겨 있는 자세가 곧 미륵반가사유상 |
||
지장보살상 地藏菩薩 |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원하는 보살. 육도(六道:지옥·아귀·축생·수라·하늘·인간세상의 여섯 가지 세상)의 중생을 구원한다는 보살. 석가여래가 입멸한 뒤부터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천상에서 지옥까지의 일체중생을 교화하는 대자대비의 보살. |
천관을 쓰고 가사를 입었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 명부전(冥府殿) |
|
월광보살 月光菩薩 |
약사여래의 협시보살상 | ||
일광보살 日光菩薩 |
약사여래의 협시보살상 |
나한상 羅漢像 |
부처님의 제자, 아라한(阿羅漢, Arhān)의 줄인말 소승불교의 수행자 중 가장 높은 지위로 온갖 번뇌를 끊고 사제(四諦)의 이치를 터득하여 세상 사람들의 공양을 받을 만한 공덕을 갖춘 성자 |
|
10대제자상 | 석굴암의 10대 제자상 | |
16나한 | 끝부분에 범천과 제석천을 함께 봉안하는 것이 나한전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 나한전(羅漢殿) |
500나한 | 부처가 열반한 후 가섭이 부처가 생존했을 때의 설법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회의를 소집했을 때 모인 비구가 5백 명 | 나한전(羅漢殿) |
신상상 또는 천 神將像 |
불교 세계와 부처를 지키고 중생들을 이롭게 하는 많은 신상 (인도의 토착신[土着神]이 불교에 흡수) |
||
인왕(仁王) | 성역(聖域)의 입구를 지키는 인왕(仁王) | ||
사천왕(四天王) | 불국토를 사방에서 수호. 동방(東方:持國天王) ·남방(南方:增長天王) ·서방(西方:廣目天王) ·북방(北方:多聞天王). |
||
팔부중(八部衆) | 인도의 토착 신앙의 신이었으나 불법에 교화된 팔부신중(八部神衆) | ||
비천(飛天) | 불국토를 장엄(莊嚴)하는 비천(飛天) |
참고문헌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2003.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한국박물관연구회. 2000. 한국의 박물관: 불교, 문예마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불교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향 봉안불상] 동향을 바라보는 부처님 (0) | 2021.09.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