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min Jeong
정현민 & 나이테
Hyun-min Jeong
  • Blog (107)
    • 침엽수 도감 (7)
      • 은행나무과 Ginkgoaceae (0)
      • 소나무과 Pinaceae (7)
      • 남양삼나무과 Araucariaceae (0)
      • 나한송과 Podocarpaceae (0)
      • 금송과 Sciadopityaceae (0)
      •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0)
      • 주목과 Tacaceae (0)
    • 활엽수 도감(환공재) (4)
      • 굴피나무속(Platycarya) (0)
      • 밤나무속(Castanea) (0)
      • 잣밤나무속(Castanopsis) (0)
      • 참나무속 (0)
      • 느릅나무속(Ulmus) (0)
      • 느티나무속(Zelkova) (0)
      • 시무나무속(Hemiptelea) (1)
      • 팽나무속(Celtis) (0)
      • 뽕나무속(Morus) (0)
      • 닥나무속(Broussonetia) (0)
      • 꾸지뽕나무속(Cudrania) (0)
      • 자귀나무속(Albizzia) (0)
      • 주엽나무속(Gleditsia) (0)
      • 회화나무속(Sophora) (0)
      • 아까시나무속(Robinia) (0)
      • 다릅나무속(Maackia) (0)
      • 쉬나무속(Evodia) (0)
      • 황벽나무속(Phellodendron) (0)
      • 소태나무속(Picrasma) (0)
      • 가중나무속(Ailanthus) (0)
      • 참중나무속(Cedrela) (0)
      • 멀구슬나무속(Melia) (0)
      • 옻나무속(Rhus) (0)
      • 무환자나무속(Sapindus) (0)
      • 나도밤나무속(Meliosma) (0)
      • 헛개나무속(Hovenia) (0)
      • 망개나무속(Berchemia) (0)
      • 벽오동속(Firmiana) (0)
      • 이나무속(Idesia) (0)
      • 황칠나무속(Dendropanax) (0)
      • 음나무속(Kalopanax) (0)
      • 두릅나무속(Aralia) (0)
      • 이팝나무속(Chionanthus) (0)
      • 쥐똥나무속(Ligustrum) (0)
      • 물푸레나무속(Fraxinus) (0)
      • 오동나무속(Paulownia) (0)
      • 개오동속(Catalpa) (0)
    • 활엽수 도감(산공재) (2)
      • 소귀나무속(Myrica) (0)
      • 사시나무속(Populus) (0)
      • 버드나무속(Salix) (1)
      • 새양버들속(Chosenia) (0)
      • 중국굴피나무속(Pterocarya) (0)
      • 자작나무속(Betula) (0)
      • 오리나무속(Alnus) (0)
      • 서어나무속(Carpinus) (0)
      • 개암나무속(Corylus) (0)
      • 새우나무속(Ostrya) (0)
      • 너도밤나무속(Fagus) (0)
      • 푸조나무속(Aphananthe) (0)
      • 계수나무속(Cercidiphyllum) (0)
      • 목련속(Magnolia) (0)
      • 초령목속(Michelia) (0)
      • 튤립나무속(Liriodendron) (0)
      • 붓순나무속(Illicium) (0)
      • 녹나무속(Cinnamomum) (0)
      • 후박나무속(Machilus) (0)
      • 참식나무속(Neolitsea) (0)
      • 육박나무속(Lozoste) (0)
      • 두충나무속(Eucommia) (0)
      • 조록나무속(Distylium) (0)
      • 버즘나무속(Platnus) (0)
      • 조팝나무속(Spiraea) (0)
      • 산사나무속(Crataegus) (0)
      • 비파나무속(Eriobotrya) (0)
      • 사과속(Malus) (0)
      • 배나무속(Pyrus) (0)
      • 마가목속(Sorbus) (0)
      • 벚나무속(Prunus) (0)
      • 탱자나무속(Poncirus) (0)
      • 굴거리나무속(daphniphyllum) (0)
      • 옻나무속(Rhus) (0)
      • 감탕나무속(llex) (0)
      • 단풍나무속(Acer) (0)
      • 칠엽수속(Aesculus) (0)
      • 모감주나무속(Koelreuteria) (0)
      • 나도밤나무속(Meliosma) (0)
      • 갈매나무속(Rhamnus) (0)
      • 대추나무속(Zizyphus) (0)
      • 헛개나무속(Hovenia) (0)
      • 피나무속(Tilia) (1)
      • 동백나무속(Camellia) (0)
      • 사스레피나무속(Eurya) (0)
      • 배롱나무속(Largerstroemia) (0)
      • 식나무속(Acuba) (0)
      • 층층나무속(Cornus) (0)
      • 감나무속(Diospyros) (0)
      • 이팝나무속(Chionanthus) (0)
      • 쥐똥나무속(Ligustrum) (0)
    • 천연기념물 (3)
    • 전통 목조 건축 (14)
      • 궁궐건축 (4)
      • 사찰건축 (5)
      • 관아건축 (0)
      • 성곽건축 (1)
      • 서원향교건축 (0)
      • 민가건축 (1)
      • 동양 목조건축 (1)
      • 서양 목조건축 (0)
      • 문화재수리 (1)
    • 국립공원 (0)
      • 북한산국립공원 (0)
      • 설악산국립공원 (0)
      • 오대산국립공원 (0)
      • 치악산국립공원 (0)
      • 태백산국립공원 (0)
      • 소백산국립공원 (0)
      • 월악산국립공원 (0)
      • 속리산국립공원 (0)
      • 주왕산국립공원 (0)
      • 계룡산국립공원 (0)
      • 가야산국립공원 (0)
      • 덕유산국립공원 (0)
      • 경주국립공원 (0)
      • 지리산국립공원 (0)
      • 한라산국립공원 (0)
    • 세계유산 (1)
    • 목재문화 (9)
      • 나이테 뉴스 (3)
      • 목재문화 (1)
      • 목재유물 (1)
      • 목공놀이 (1)
      • 목공구 Tools (0)
    • 불교문화 (2)
    • 학술연구 (45)
      • 목재식별학 (4)
      • 침엽수 식별 (2)
      • 활엽수 식별 (1)
      • 연구활동 (0)
      • 연륜고고학 (4)
      • 연륜생태학 (1)
      • 연륜기후학 (4)
      • 방사성탄소연대 (4)
      • 보존과학 (1)
      • QGIS & Map (2)
      • R Coding (7)
      • Conference (1)
      • 학술지 (2)
      • 논문쓰는법 (1)
      • 연구장비 (2)
    • 행정 (3)
    • 일상이야기 (14)
      • Story (4)
      • 사진_눈꽃( Snow) (1)

블로그 메뉴

  • 침엽수재
  • 활엽수재(산공재)
  • 전통목조건축
  • About
  • Guestbook
  • EN

공지사항

인기 글

  •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2020.04.29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 공직유관단체 목록(2020.1.1)
    2020.03.04
  •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2020.02.07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 2006,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그⋯
    2020.03.17
    2006,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그⋯
  • 2006,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2020.02.15
    2006,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태그

  • 방사성탄소연대
  • 나이테
  • 연륜폭
  • 목재
  • 연륜연대
  • 소나무과
  • tree-ring
  • 잣나무
  • 연륜코어
  • 목제유물
  • 천연기념물
  • 노거수
  • 소나무속
  • 수종분석
  • 문화재돌봄
  • 소나무
  • 정이품송
  • Leaflet
  • 보호수
  • 연륜연대학

최근 댓글

  • 첫째, 수다라장의 중인방 3점에⋯
    Hyun-min Jeong
  • 혹시 장판경전의 연륜연대학적⋯
    .....
  • "내가 가진 정보도 찾기 어렵다⋯
    §§▒

최근 글

  • 중국 명청 왕조의 황제무덤군⋯
    2022.07.03
    중국 명청 왕조의 황제무덤군⋯
  • 2022년 문화재돌봄사업 분임워⋯
    2022.07.03
    2022년 문화재돌봄사업 분임워⋯
  •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2022.03.03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 [즐겨찾기] 온라인 지도 모음
    2022.03.03
  • R실습_지도 만들기(2)_마커
    2022.03.02
    R실습_지도 만들기(2)_마커

티스토리

전체 방문자
36,945
오늘
0
어제
40

Hyunmin.org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Tistory / Kakao.

Designed By hELLO·정상우.
Hyun-min Jeong

정현민 & 나이테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학술연구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2020. 4. 29. 08:54
반응형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연도 계산법은 주 예수그리스도의 탄생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서력기원(약칭, 서기)이다. 로마자 약어로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AD 1로 표기하며, AD는 Anno Domini (주의 해)로 뜻하는 라틴어의 약자이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나기 전을 BC로 표기하는데 영어 Before Chris의 약자이다. 최근에는 종교적 중립을 위하여 기원후를 CE(공통시대, common Era)로 표기하며 기원후를 BCE(공통시대 이전, before Common Era)로 표기하고 있다. 

 

BP년도(Before Present)는 1950년을 기준으로 계산한여 몇년 전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고고학, 지리학 등 다양한 과학에서 과거에 대한 연도를 계산할 때 사용되고 있다.  1940년대 미국의 물리학자 리비(Willard Libby)에 의해서 개발된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에 의한 연대계산할 때 사용되기 시작했다.  1950년을 기준으로 삼는 이유는 핵무기 개발 실험이 진행되면서 인위적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탄소 동위원소비가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1954년부터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은 1950년 기준 옥살산 시료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단기 : 단군 기원의 약자로, 단군의 고조선 건국 연대를 기준으로 기원전 2333년이 단기 1년이다. 

불기 : 불멸기원의 약자로, 석가모니의 입적(사망)한 해를 기준으로 기원전 433년이 불기 1년이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학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0) 2020.04.29
[연륜연대분석 방법] #1. 시료(샘플) ID 정의  (0) 2020.02.03
연륜연대학 통계 용어  (0) 2019.04.15
연륜폭측정기 (Tree-ring width meeasurement)  (0) 2017.12.17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세미나  (0) 2017.03.25
연륜연대학의 창시자, 앤드류 엘리콧 더글라스(A. E. Douglass)  (0) 2016.05.13
    '학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륜연대분석 방법] #1. 시료(샘플) ID 정의
    • 연륜연대학 통계 용어
    • 연륜폭측정기 (Tree-ring width meeasurement)
    •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세미나
    ad, BC, BCE, BP, CE, 단기, 방사성탄소연대, 불기, 서기, 연도
    Hyun-min Jeong
    Hyun-min Jeong
    나무가 자라서 목재가 되고 목재를 다듬어 문화재가 된다. 이제 거꾸러 문화재에서 나무로 찾아가는 여정을 떠났다.
    댓글쓰기
    • 이전
    • 1
    • ···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
    • 107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