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min Jeong
정현민 & 나이테
Hyun-min Jeong
  • Blog (111)
    • 침엽수 도감 (7)
      • 은행나무과 Ginkgoaceae (0)
      • 소나무과 Pinaceae (7)
      • 남양삼나무과 Araucariaceae (0)
      • 나한송과 Podocarpaceae (0)
      • 금송과 Sciadopityaceae (0)
      •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0)
      • 주목과 Tacaceae (0)
    • 활엽수 도감(환공재) (4)
      • 굴피나무속(Platycarya) (0)
      • 밤나무속(Castanea) (0)
      • 잣밤나무속(Castanopsis) (0)
      • 참나무속 (0)
      • 느릅나무속(Ulmus) (0)
      • 느티나무속(Zelkova) (0)
      • 시무나무속(Hemiptelea) (1)
      • 팽나무속(Celtis) (0)
      • 뽕나무속(Morus) (0)
      • 닥나무속(Broussonetia) (0)
      • 꾸지뽕나무속(Cudrania) (0)
      • 자귀나무속(Albizzia) (0)
      • 주엽나무속(Gleditsia) (0)
      • 회화나무속(Sophora) (0)
      • 아까시나무속(Robinia) (0)
      • 다릅나무속(Maackia) (0)
      • 쉬나무속(Evodia) (0)
      • 황벽나무속(Phellodendron) (0)
      • 소태나무속(Picrasma) (0)
      • 가중나무속(Ailanthus) (0)
      • 참중나무속(Cedrela) (0)
      • 멀구슬나무속(Melia) (0)
      • 옻나무속(Rhus) (0)
      • 무환자나무속(Sapindus) (0)
      • 나도밤나무속(Meliosma) (0)
      • 헛개나무속(Hovenia) (0)
      • 망개나무속(Berchemia) (0)
      • 벽오동속(Firmiana) (0)
      • 이나무속(Idesia) (0)
      • 황칠나무속(Dendropanax) (0)
      • 음나무속(Kalopanax) (0)
      • 두릅나무속(Aralia) (0)
      • 이팝나무속(Chionanthus) (0)
      • 쥐똥나무속(Ligustrum) (0)
      • 물푸레나무속(Fraxinus) (0)
      • 오동나무속(Paulownia) (0)
      • 개오동속(Catalpa) (0)
    • 활엽수 도감(산공재) (2)
      • 소귀나무속(Myrica) (0)
      • 사시나무속(Populus) (0)
      • 버드나무속(Salix) (1)
      • 새양버들속(Chosenia) (0)
      • 중국굴피나무속(Pterocarya) (0)
      • 자작나무속(Betula) (0)
      • 오리나무속(Alnus) (0)
      • 서어나무속(Carpinus) (0)
      • 개암나무속(Corylus) (0)
      • 새우나무속(Ostrya) (0)
      • 너도밤나무속(Fagus) (0)
      • 푸조나무속(Aphananthe) (0)
      • 계수나무속(Cercidiphyllum) (0)
      • 목련속(Magnolia) (0)
      • 초령목속(Michelia) (0)
      • 튤립나무속(Liriodendron) (0)
      • 붓순나무속(Illicium) (0)
      • 녹나무속(Cinnamomum) (0)
      • 후박나무속(Machilus) (0)
      • 참식나무속(Neolitsea) (0)
      • 육박나무속(Lozoste) (0)
      • 두충나무속(Eucommia) (0)
      • 조록나무속(Distylium) (0)
      • 버즘나무속(Platnus) (0)
      • 조팝나무속(Spiraea) (0)
      • 산사나무속(Crataegus) (0)
      • 비파나무속(Eriobotrya) (0)
      • 사과속(Malus) (0)
      • 배나무속(Pyrus) (0)
      • 마가목속(Sorbus) (0)
      • 벚나무속(Prunus) (0)
      • 탱자나무속(Poncirus) (0)
      • 굴거리나무속(daphniphyllum) (0)
      • 옻나무속(Rhus) (0)
      • 감탕나무속(llex) (0)
      • 단풍나무속(Acer) (0)
      • 칠엽수속(Aesculus) (0)
      • 모감주나무속(Koelreuteria) (0)
      • 나도밤나무속(Meliosma) (0)
      • 갈매나무속(Rhamnus) (0)
      • 대추나무속(Zizyphus) (0)
      • 헛개나무속(Hovenia) (0)
      • 피나무속(Tilia) (1)
      • 동백나무속(Camellia) (0)
      • 사스레피나무속(Eurya) (0)
      • 배롱나무속(Largerstroemia) (0)
      • 식나무속(Acuba) (0)
      • 층층나무속(Cornus) (0)
      • 감나무속(Diospyros) (0)
      • 이팝나무속(Chionanthus) (0)
      • 쥐똥나무속(Ligustrum) (0)
    • 천연기념물 (3)
    • 전통 목조 건축 (14)
      • 궁궐건축 (4)
      • 사찰건축 (5)
      • 관아건축 (0)
      • 성곽건축 (1)
      • 서원향교건축 (0)
      • 민가건축 (1)
      • 동양 목조건축 (1)
      • 서양 목조건축 (0)
      • 문화재수리 (1)
    • 국립공원 (0)
      • 북한산국립공원 (0)
      • 설악산국립공원 (0)
      • 오대산국립공원 (0)
      • 치악산국립공원 (0)
      • 태백산국립공원 (0)
      • 소백산국립공원 (0)
      • 월악산국립공원 (0)
      • 속리산국립공원 (0)
      • 주왕산국립공원 (0)
      • 계룡산국립공원 (0)
      • 가야산국립공원 (0)
      • 덕유산국립공원 (0)
      • 경주국립공원 (0)
      • 지리산국립공원 (0)
      • 한라산국립공원 (0)
    • 세계유산 (1)
    • 목재문화 (10)
      • 나이테 뉴스 (3)
      • 목재문화 (1)
      • 목재유물 (1)
      • 목공놀이 (1)
      • 목공구 Tools (0)
    • 불교문화 (2)
    • 배움터 (46)
      • 목재식별학 (4)
      • 침엽수 식별 (2)
      • 활엽수 식별 (1)
      • 연구활동 (0)
      • 연륜고고학 (4)
      • 연륜생태학 (1)
      • 연륜기후학 (4)
      • 방사성탄소연대 (4)
      • 보존과학 (1)
      • QGIS & Map (2)
      • R Coding (8)
      • 3D 모델링 (0)
      • Conference (1)
      • 학술지 (2)
      • 논문쓰는법 (1)
      • 연구장비 (2)
    • 행정 (3)
    • 일상이야기 (15)
      • Story (4)
      • 사진_눈꽃( Snow) (1)
반응형

블로그 메뉴

  • 침엽수재
  • 활엽수재(산공재)
  • 전통목조건축
  • About
  • Guestbook
  • EN

공지사항

인기 글

  •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2020.04.29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 국가 보조금 보조비목·보조세목별 산정기준
    2018.08.28
  •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2022.03.03
    활엽수_환공재 수종 목록
  • 소나무과(pinaceae) 계통 분류(4아과 11속)
    2021.07.26
    소나무과(pinaceae) 계통 분류(4아과 11속)
  • 불상의 종류 및 의미
    2021.08.26
    불상의 종류 및 의미

태그

  • 수종분석
  • 연륜연대학
  • 문화재돌봄
  • 정이품송
  • 연륜폭
  • 소나무
  • tree-ring
  • 목재
  • 연륜연대
  • 소나무속
  • 나이테
  • R
  • 방사성탄소연대
  • 목제유물
  • Leaflet
  • 소나무과
  • 잣나무
  • 천연기념물
  • 보호수
  • 연륜코어

최근 댓글

  • 첫째, 수다라장의 중인방 3점에서 최외각(가장 늦게 만들어⋯
    Hyun-min Jeong
  • 혹시 장판경전의 연륜연대학적 연도는 나와있나요?
    .....
  • "내가 가진 정보도 찾기 어렵다." 저도 그렇게 느낍니다⋯
    §§▒

최근 글

  • 3D 스캔 : 포토 메트릭 습작 - 안압지선
    2023.04.20
    3D 스캔 : 포토 메트릭 습작 - 안압지선
  • chatGPT 첫 만남
    2023.02.11
  • [ggplot2] 간트차트 만들기(연대기차트) Gantt/⋯
    2023.01.29
    [ggplot2] 간트차트 만들기(연대기차트) Gantt/⋯
  • 목재로 만든 놀라운 세계 10대 건물(2017년 기준)
    2023.01.01
    목재로 만든 놀라운 세계 10대 건물(2017년 기준)
  • 중국 명청 왕조의 황제무덤군 명효릉(明孝陵)
    2022.07.03
    중국 명청 왕조의 황제무덤군 명효릉(明孝陵)

티스토리

전체 방문자
45,787
오늘
19
어제
30

Hyunmin.org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Tistory / Kakao.

Designed By hELLO·정상우.
Hyun-min Jeong

정현민 & 나이테

일상이야기

chatGPT 첫 만남

2023. 2. 11. 00:17
반응형
뻔한 질문을 해보았다.
 
 
 
HMJ : what is dendrochronology
 
 
 
ChatGPT :

Dendrochronology is the scientific method of dating tree rings to the exact year they were formed. This method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many species of trees, the size of the annual growth ring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ainfall, and available moisture.

In dendrochronology, the study of tree rings, also known as growth rings, is used to create a chronology that can be used to date other wooden objects and archaeological sites. The idea is that the pattern of rings in a tree, with wider rings indicating years of abundant growth and narrow rings indicating years of limited growth, is unique to each tree and can be compared to the patterns in other trees to create a continuous chronological sequence covering many thousands of years.

Dendrochronology is widely used in many fields, including archaeology, forestry, and climatology, to reconstruct past environments, understand past climate change, and date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rtifacts, and ancient structures.

 

 

HMJ :

what is standardization of tree ring width
 
 
 
ChatGPT :

Standardization of tree-ring width refers to the process of normalizing the width of tree rings so that they can be compared across different trees, species, and time periods. In dendrochronology, the width of tree rings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ree's age, growth conditions, and species. These factors can lead to variability in tree-ring width even within a single species, which can make it difficult to compare tree-ring widths from different trees or different time periods.

To address this issue, dendrochronologists use a process called standardization to remove these growth-related variations in tree-ring width. Standardization involves measuring the width of the tree rings for a given year and then normalizing this measurement by dividing it by a smoothed version of the ring-width record for that tree. The smoothed version of the ring-width record is created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remove the natural variability in tree-ring width and highlight the underlying growth trends.

Standardized tree-ring widths are used to build chronologies, which are sequences of tree-ring widths from multiple trees that span many years. These chronologies can then be used to reconstruct past climates, understand pas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date archaeological sites and artifacts.

 
 
HMJ : 한글로
 
ChatGPT :
 
나무관 폭의 표준화는 다른 나무, 종, 시기 간 비교할 수 있도록 나무관의 폭을 정규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특정 연도의 나무관 폭을 측정한 다음, 이 측정값을 해당 나무의 나무관 폭 기록의 부드러운 버전으로 나누어 정규화하는 과정입니다. 표준화를 통해, 나무관 폭의 성장 관련 변동성을 제거하여 다른 나무 또는 시기의 나무관 폭을 비교하기 쉬워집니다.

 

HMJ :

write about dendrochrnology in korea
 
ChatGPT :
 

(두번째)

대한민국에서 나무관학(Dendrochronology)은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생태학, 기후학, 지구과학 분야의 학문입니다. 이 과학은 나무의 연년대를 통해 지구 기후의 변화, 생태계 변화,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사용됩니다.

대한민국에서의 나무관학 연구는 주로 나무관의 나이와 폭, 그리고 결정의 밀도 등을 고려하여 지구 기후, 기상, 지질적, 생태학적 변화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의 나무관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나무관학 기술과 새로운 기술, 예를 들어 유전체 연구, 분자생물학 등의 기술을 결합하여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의 나무관학 연구는 대한민국 전역의 다양한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대학교, 연구기관

 
(세번째)

대한민국에서의 나무관학(Dendrochronology)은 극심한 기후 변화와 지역 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나무관 표준화를 통해 다른 나무의 나무관 폭을 비교할 수 있어, 나무의 성장 패턴을 추적하고 시기적인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의 나무관학은 많은 연구 기관, 대학 및 연구소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 지역 환경 변화, 생태학적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나무관학은 대한민국의 지역 환경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MJ : how long the longest tree-ring width chronology
 
ChatGPT :
 
The length of the longest tree-ring width chronology can vary, depending on the species of tree and the region in which it grows. However, some of the longest tree-ring chronologies extend back over 8,000 years, based on the analysis of ancient trees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North America, Europe, and Asia. The most precise and detailed tree-ring chronologies are often created from slow-growing tree species, such as Douglas Fir and Bristlecone Pine, that can live for thousands of years and produce well-preserved and distinct annual growth rings. The length of a tree-ring chronology is also dependent on the availability of well-preserved tree samples and the accuracy of the dating techniques used to analyze the tree rings.
 

 

 
 

느낌점

아이가 지식을 쌓으면서 발전하듯이 chatGPT도 답변이 발전한다. 

사용자가 폭증해서 인지는 모르겠으나 답변속도가 많이 느리다.

특히 한글로 요청했을때, 나보다 확실히 뛰어난 인공지능 같은 기분

반응형
저작자표시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륜코어(생장편, 나이테코어) 측정  (0) 2022.02.15
무료폰트 공유 : 문화재돌봄체  (0) 2021.03.22
트리클라이밍(등반)의 기초, 로프(자일) 이것만 알고살자!  (0) 2020.11.09
[2019. 7. 30.] SCI학술지 눈문 게재 확정!  (0) 2020.02.01
CV : Hyun-min Jeong  (0) 2019.06.13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륜코어(생장편, 나이테코어) 측정
    • 무료폰트 공유 : 문화재돌봄체
    • 트리클라이밍(등반)의 기초, 로프(자일) 이것만 알고살자!
    • [2019. 7. 30.] SCI학술지 눈문 게재 확정!
    ai, ChatGPT, 연륜연대
    Hyun-min Jeong
    Hyun-min Jeong
    나무가 자라서 목재가 되고 목재를 다듬어 문화재가 된다. 이제 거꾸러 문화재에서 나무로 찾아가는 여정을 떠났다.
    댓글쓰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