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6

2008년 12월 8일, 겨울 남이섬의 황홀한 설경

5년(2008-2013) 동안 남이섬에서 일하면서가장 아름다웠던 날들을 뽑으라고 묻는다면나는 무저없이 2008년 12월 8일(월)이라고 답할 것이다. 월요일 아침 출근길에 마주한 남이섬은이미 밤새 펑펑 내린 눈으로 새하얗게 변하였고, 눈발은 쉽게 잦아들지 않고 더욱 세차게 남이섬을 순백의 하얀세상으로 꾸몄다. 이날 방문한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사람들 중에 한명임이 틀림없다.이런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다는 것은 그 어떤 값어치보다 높다. 동화속 설국(雪國)이 이런 모습이 아닐까? Nami Island, Korea Hyun-min Jeong

창덕궁 향원정(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부용정 | 昌德宮 芙蓉亭보물 제1763호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의 누각, 열 십(十)자 모양으로 구성 이력1792 택수재를 헐고 개축하여 부용정이라 칭함2011-2012 부용정 지붕해체 보수 연륜연대분석 결과- 17세기 초 부재(서측대공1, 남측대공2, 적심누리개) : 절대연도 1464-1612- 18세기 말 부재(동서종도리, 남쪽승두, 북쪽승두, 계자각, 추녀1, 추녀4) : 절대연도 1636-1788- 1860년대 부재(추녀2, 남북종도리, 적심누리개) : 절대연도 1721-1860 방사성탄소연대분석 결과- 19세기 (부용정 지정말목) : 1915-1930 출처 : 2012, 창덕궁 부용정 해체실측수리보고서 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세미나

전통건축 연대측정과 재질에 관한 학술회의 2002년 5월 20일(월) 15:00 ~ 18:30, 충북대학교건축사학적 측면에서 익산 미륵사 목조건축 공포형식 추정 (충북대 김경표 교수)전통건축의 편년 확립을 위한 연륜연대 측정법 (충북대 박원규 교수) 17세기 전반기 불전 건축의 편년 문제 (경주대 이강근 교수17세기 전통건축의 연륜연대 해석 (충북대 김요정 연구원)조선후기 관영건축에 관한 연륜연대학적 연구 (충북대 한수원 연구원)고종과 순종대 일성록과 승정원일기에 나타난 건축기록 (정신문화연구원 윤진영 박사과정)완주 화암사 극락적 목부재의 강도와 수종분석(충북대 한상효 연구조원)창녕 관룡사 대웅전과 약사전 목부재의 수종분석(충북대 문현남 연구조원) 목재건조 및 비파괴검사법 (집중세미나 Ⅲ) 2004년 6..

배움터 2017.03.25

속리산국립공원 소나무의 집단 쓰러짐의 원인을 규명한 연륜연대

2014년에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에 속리산국립공원으로부터 속리산 여적암 전도된 소나무의 원인 규명을 의뢰받았다. 당시 여적암 지역은 계곡부 능선으로 고사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60m X 60m의 조사범위를 설정하고 연륜연대법을 이용하여 고사년도, 생장쇠퇴 및 이벤트(외부 환경요인)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속리산국립공원 여적암에서 묘봉으로 가는 계곡 능선을 따라서 송진 채취로 상처 난 소나무가 즐비하다. 연륜연대를 통해서 상처 난 연도는 역으로 추적한 결과 송진 채취시기는 1954년부터 1964년까지 약 11년간이었다. 송진채취 부위별로 자세히 조사해보니 송진의 채취방법이 수목의 아랫부분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채취하였다. 능선을 따라서 소나무들이 집단으로 전도된 원인도 분..

목재 사용의 역사

목재 사용의 역사 고대세계 The Ancient world 인류는 약 200만 년 전에 최초의 석기를 발명한 순간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존재가 되었다. 그러부터 120만년 후에 천연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었다. 불의 사용 | 기원전 150만 년경(BC 1,500,000) 1988년 남아프리카와 1981년 케냐 등 에서 불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미 불이 한번 붙었던 나무를 찾아라. 한번 그을린 나무는 불을 붙이기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아프리카 속담 오두막의 재료 | 기원전 40만 년경 (BC 400,000)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최초의 오두막을 지었다. 날카로운 나무 장대, 창 | 기원전 40만 년경 (BC 400,000) 독일 쉬닝엔에서 여덟 개의 창이 발견되었는데, 이..

목재문화 2017.03.04

보이지 않았던 나무 뿌리의 세계, 경쟁이 아닌 초협력적 관계의 숲

엄마나무의 존재,뿌라를 통한 탄소, 인, 질소 등의 교환지식의 전달경쟁이 아닌 초협력적 관계를 갖는 숲 멋진 연구와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진짜 연구란 이런 것 아닐까! Suzanne W Simard Professo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Project Leader, TerreWEB, NSERC CREATE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Suzanne_Simardhttps://www.ted.com/talks/suzanne_simard_how_trees_talk_to_each_other?language=ko http://profiles.forestry.ubc.ca/person/suzanne-simard/

목재문화 201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