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6

R 시작하다.

통계 분석 프로그램의 대세인 'R'을 이제서야 시작해봅니다. 글자색 빨간색 : 명령문 명령문 실행은 enter key 결과값 Inf = Infinity (무한값) 제곱급 = sqrt(숫자) R을 통해서 한 첫번째 연산 연습 자료 = 객체 object 벡터 = 개체의 한유형이며, 하나의 변수를 뜻함, 동일한 특성과 요소로 구성됨. 함수 funtion - 평균 mean - 파일을 복사해서 R에 넣을때 문자는 조심 - 윈도우와 R이 사용하는 문자 기반이 다르기 때문

소나무는 제대로 알기, 두번째 한반도의 소나무

소나무 제대로 알기, 한반도에 자라는 소나무속 수종들 아속(Subgenus) 절 (Section) 아절(Subsection) 종명 잎수 수고 직경 분포지역 및 특징 Pinus Pinus Pinus 소나무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2개 36m 150-180m 북부의 아고산지대와 산 정상부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자생 및 식재 금강소나무 2개 36m 150-180cm 강원도 금강산에서부터 경상북도 조령지역까지 분포 반송 2개 6-7m 전국의 표고 1,300m이하에서 자생하고 일본과 만주에도 분포한다. 곰솔 black pine Pinus thunbergii 2개 40m 50-80cm 중남부의 섬, 해안가의 산지 곰반송 2개 20m 100cm 제주도에서 표고 500m이하의 산기..

침엽수 도감 2019.01.18

소나무는 제대로 알기, 첫번째 소나무의 족보

소나무의 정체를 밝히자. 소나무의 이름을 밝혀보자! 우리나라가 위치한 한반도에 자라는 대표적인 수목인 '소나무'는 일반적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내륙쪽에 자란다고 하여 '육송' 이라고 불르기도 하며, 수피가 붉다고 하여 '적송' 이라고 부른다. 영어로 'Japanese red pine'로 불리고 있다. 소나무가 한반도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자생하며, 서양에 처음 소개된 것이 네덜란드 과학자 von Sieboold가 1823년 일본 나가사카 부근의 작은 섬에 파견되었때 수집한 자생 동식물을 통해서 였기에 "red pine" 앞에 'japanese' 가 붙어서 불리우게 되었다. 하지만 2015년 무렵부터 학계를 비롯한 산림청에서 'Korean red pine'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먼저 우리가..

침엽수 도감 2019.01.12

국가계약법 수의계약 금액 및 추정가격 정의

국가기관이 소액수의 견적입찰로 수의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6조제1항제5호 “가”목 2)에 따르면 “추정가격이 2천만원 이하인 물품의 제조·구매계약 또는 용역계약”의 경우에는 계약의 목적·성질 등에 비추어 경쟁에 따라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로 보아 수의계약이 가능토록 규정 추정가격이라 함은 지방계약법령상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을 말하므로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2천2백만원까지는 수의 계약이 가능할 것

행정 2018.09.19

국가 보조금 보조비목·보조세목별 산정기준

예산 작성하다보면 가장 헷갈리는 것이 예산항목이 아닐까 싶다. 1년에 한번 작업할때 보니까 자꾸 헷갈려 찾아보게 된다. 보조비목 보조세목 내역 인건비 (110) 보수 (01) 1. 정규직원에 대한 보수 - 봉급, 정근수당, 성과상여금, 정액수당, 초과근무수당, 정액급식비, 명절휴가비, 명예퇴직수당, 연가보상비 2. 연봉제 직원의 경우에는 연봉 월액 3. 성과급 4. 퇴직급 및 퇴직급여 충당금 5. 직급보조비 기타직보수 (02) 1. 전문 계약직에 대한 보수(상여, 수당 포함) - 사법연수원생, 시보공무원, 청원산림보호원, 수련의, 공중보건의사, 공중방역수의사, 징빙전담 의사 등 2. 청원경찰에 대한 보수 3. 각종 위원회 또는 심의회의 비정규직에 대한 보수 4. 기타 법령에 의해 지급되는 비정규직원에 대..

행정 2018.08.28

방사성탄소연대 분석프로그램, Oxcal

방사성탄소연대는 AD1950년을 기점으로 하여 몇 년 전 인지를 나타내는 연대이다. 방사성탄소연대(yrBP)의 산출에는 리비(Libby)의 14C 반감기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성탄소연대의 달력연대 교정에는 Oxcal4.2.4(교정곡선데이터: INTCAL13)을 사용한다. 달력연대 교정이란 대기중의 14C농도가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반감기 5568년으로 산출해왔던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하여 과거의 우주선강도(宇宙船强度)와 지구자장(地球磁場)의 변동에 의한 대기중의 14C 농도 변동 및 반감기 차이를 교정함으로써 실제의 연대치에 가까운 연대를 산출하는 것이다. 1σ(One Sigma)의 달력연대범위는 OxCal의 확률법을 사용하여 산출한 14C연대 오차에 상당하는 68.2% 신뢰한계의 달력연대범위이며, 2σ(Two..

가장 오래된 나무의 이야기, 브리슬콘소나무(bristlecone pine)

ⓒ Venkataraman (500px, https://500px.com/photo/71797619/old-timer-by-venkataraman)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사는 나무, 브리슬콘소나무 브리슬콘소나무는 일반적으로 Pinus longaeva와 Pinus aristata의 2수종을 부르는 말이며, 미국에서도 서부지역에 2,500~3,600m에 걸쳐서 주로 자라는 나무이다. 잎이 5개이므로, 우리나라 소나무(적송)보다는 잣나무와 더 가깥다고 보면 된다. 높이는 15m정도 자라며 오래시간동안 매우 천천히 자란다. 첫 발견은 애리조나 대학의 애드먼트 슐만에 의해서 발견되어졌다. 1939년부터 1955년까지 연구하면서, 브리슬콘소나무 중에서 4767년 동안 살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후 1958년 내셔..

침엽수 도감 2018.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