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6

2008년 12월 8일, 겨울 남이섬의 황홀한 설경 5년(2008-2013) 동안 남이섬에서 일하면서가장 아름다웠던 날들을 뽑으라고 묻는다면나는 무저없이 2008년 12월 8일(월)이라고 답할 것이다. 월요일 아침 출근길에 마주한 남이섬은이미 밤새 펑펑 내린 눈으로 새하얗게 변하였고, 눈발은 쉽게 잦아들지 않고 더욱 세차게 남이섬을 순백의 하얀세상으로 꾸몄다. 이날 방문한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사람들 중에 한명임이 틀림없다.이런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다는 것은 그 어떤 값어치보다 높다. 동화속 설국(雪國)이 이런 모습이 아닐까? Nami Island, Korea Hyun-min Jeong 2017. 12. 17.
창덕궁 인정문 (Injeongmu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인정문 | 昌德宮 仁政門보물 813호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다포양식, 이력1405 창덕궁 창건1592 임진왜란으로 창덕궁 전소1610 창덕궁 중건1744 인정문 소실1745 인정문 중건1926 인정문 개조1993 인정문 복구 Injeongmu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2017. 8. 4.
창덕궁 영화당 (Yeonghwadang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영화당 | 昌德宮 暎花堂정면 5칸, 측면 3칸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치기도 했던 왕의 휴식공간으로 후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이력1692년 재건(숙종 2년) Yeonghwadang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2017. 8. 4.
창덕궁 주합루(Juhamnu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주합루 | 昌德宮 宙合樓 보물 제1769호정면 5칸, 측면 4칸 중층건물 이력1776년 창건(정조 즉위년) 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Juhamnu Pavilion in Changdeokgung Palace is a two-story building built in the palace’s rear garden as a storage facility for the writings produced by the king. 2017. 8. 4.
창덕궁 향원정(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부용정 | 昌德宮 芙蓉亭보물 제1763호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의 누각, 열 십(十)자 모양으로 구성 이력1792 택수재를 헐고 개축하여 부용정이라 칭함2011-2012 부용정 지붕해체 보수 연륜연대분석 결과- 17세기 초 부재(서측대공1, 남측대공2, 적심누리개) : 절대연도 1464-1612- 18세기 말 부재(동서종도리, 남쪽승두, 북쪽승두, 계자각, 추녀1, 추녀4) : 절대연도 1636-1788- 1860년대 부재(추녀2, 남북종도리, 적심누리개) : 절대연도 1721-1860 방사성탄소연대분석 결과- 19세기 (부용정 지정말목) : 1915-1930 출처 : 2012, 창덕궁 부용정 해체실측수리보고서 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 2017. 8. 1.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세미나 전통건축 연대측정과 재질에 관한 학술회의 2002년 5월 20일(월) 15:00 ~ 18:30, 충북대학교건축사학적 측면에서 익산 미륵사 목조건축 공포형식 추정 (충북대 김경표 교수)전통건축의 편년 확립을 위한 연륜연대 측정법 (충북대 박원규 교수) 17세기 전반기 불전 건축의 편년 문제 (경주대 이강근 교수17세기 전통건축의 연륜연대 해석 (충북대 김요정 연구원)조선후기 관영건축에 관한 연륜연대학적 연구 (충북대 한수원 연구원)고종과 순종대 일성록과 승정원일기에 나타난 건축기록 (정신문화연구원 윤진영 박사과정)완주 화암사 극락적 목부재의 강도와 수종분석(충북대 한상효 연구조원)창녕 관룡사 대웅전과 약사전 목부재의 수종분석(충북대 문현남 연구조원) 목재건조 및 비파괴검사법 (집중세미나 Ⅲ) 2004년 6.. 2017. 3. 25.
속리산국립공원 소나무의 집단 쓰러짐의 원인을 규명한 연륜연대 2014년에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에 속리산국립공원으로부터 속리산 여적암 전도된 소나무의 원인 규명을 의뢰받았다. 당시 여적암 지역은 계곡부 능선으로 고사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60m X 60m의 조사범위를 설정하고 연륜연대법을 이용하여 고사년도, 생장쇠퇴 및 이벤트(외부 환경요인)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속리산국립공원 여적암에서 묘봉으로 가는 계곡 능선을 따라서 송진 채취로 상처 난 소나무가 즐비하다. 연륜연대를 통해서 상처 난 연도는 역으로 추적한 결과 송진 채취시기는 1954년부터 1964년까지 약 11년간이었다. 송진채취 부위별로 자세히 조사해보니 송진의 채취방법이 수목의 아랫부분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채취하였다. 능선을 따라서 소나무들이 집단으로 전도된 원인도 분.. 2017. 3. 18.
요즘 내게 필요한 말 결국 모든것이 나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나를 다스려야 뜻을 이룬다.모든것은 내 자신에 달려 있다. - 백범 김구 선생님의 '모든 것은 나로부터 시작됩니다.' 중에서 2017. 3. 14.
목재 사용의 역사 목재 사용의 역사 고대세계 The Ancient world 인류는 약 200만 년 전에 최초의 석기를 발명한 순간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존재가 되었다. 그러부터 120만년 후에 천연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었다. 불의 사용 | 기원전 150만 년경(BC 1,500,000) 1988년 남아프리카와 1981년 케냐 등 에서 불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이미 불이 한번 붙었던 나무를 찾아라. 한번 그을린 나무는 불을 붙이기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아프리카 속담 오두막의 재료 | 기원전 40만 년경 (BC 400,000)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최초의 오두막을 지었다. 날카로운 나무 장대, 창 | 기원전 40만 년경 (BC 400,000) 독일 쉬닝엔에서 여덟 개의 창이 발견되었는데, 이.. 2017. 3. 4.
보이지 않았던 나무 뿌리의 세계, 경쟁이 아닌 초협력적 관계의 숲 엄마나무의 존재,뿌라를 통한 탄소, 인, 질소 등의 교환지식의 전달경쟁이 아닌 초협력적 관계를 갖는 숲 멋진 연구와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진짜 연구란 이런 것 아닐까! Suzanne W Simard Professo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Project Leader, TerreWEB, NSERC CREATE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Suzanne_Simardhttps://www.ted.com/talks/suzanne_simard_how_trees_talk_to_each_other?language=ko http://profiles.forestry.ubc.ca/person/suzanne-simard/ 2017. 1. 16.
참나무속 Genus Qeurcus L. 참나무속 Genus Qeurcus L. 백참나무아속 Subgenus Quercus (synonym sect. Lepidobalanus or Leucobalanus) 상수리나무류 Section Cerris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졸참나무류 section Prinus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졸참나무(Quercus serrata) 갈참나무(Quercus aliena) 떡갈나무(Quercus dentata) 가시나무아속 Subgenus Cyclobalanopsis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개가시나무(Quercus gilva)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 2017. 1. 12.
층층나무과 (Family Cornaceae,The dogwood family) Family Cornaceae (The dogwood family, 층층나무과)층층나무속 Cornus L. - 산공재, 계단상천공- 관공의 윤곽이 다각형, 고립관공 또는 복합관공- 축방향유세포는 산재상, 짧은 접선상- 계단상천공(바의 수: 23-41)- 방사조직은 이성1형, 2형, 3형, 1-5(6)열 - 말채나무 Cornus walteri- 곰의말채나무-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2017. 1. 12.
느릅나무과 (Family Ulmaceae,The elm family) 느릅나무과 (Family Ulmaceae,The elm family) Apananthe 푸조나무속 - 산공재, 단천공 - 축방향유세포 주위상, 익상, 대상유조직 - 방사조직 이성2형 또는 이성3형, 1-5(6)열 - 프리즘형 결정 존재- 푸조나무, Muku Tree, ムクノキ, 糙叶树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Ulmus 느릅나무속- 환공재, 공권 1-3열, 공권외 집합관공, - 방사조직 동성형, 1-6열 - 소도관에 나선비후- 결정 - 참느릅나무- 비술나무- 난티나무- 당느릅나무- 느릅나무 Zelkova 느티나무속- 환공재, 공권 1-3열, 집합관공, - 방사조직 동성형 또는 이성3형, 1-8열, 가장자리의 방형세포에 결정이 흔함, - 확장된 이형세포내 결정 존재- 소도관에 나선비후 - 느티나.. 2017. 1. 12.
이미지작업용 컴퓨터 사양 몇달전에 이미지 분석을 위하여 구축한 고사양 컴퓨터의 구성이다. 지금까지 원활한 작업을 하고 있어 참 마음에 든다. 성능 검사에서도 그래픽카드만이 7.4로 가장 낮게 나왔다. 3D 게임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NVIDIA Quadro K620로 설치하였다. 이 보다 더 고급인 K5200은 가격이 거의 300만원에 육박하니 넘사벽이다. 적절한 가격에 협상할 수 있는 최상의 그래픽카드가 아닐까 싶다. CPU는 intel xeon E3-1231 v3으로 부팅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 RAM은 16GB이니 넉넉하다. 하드디스크는 SSD 256GB와 HDD 2TB로 구성하였다. 2016. 7. 30.
연륜연대학의 창시자, 앤드류 엘리콧 더글라스(A. E. Douglass) 연륜연대학의 창시자, A. E. Douglass (Andrew Ellicott Douglass, 1867-1962) 더글라스는 연륜연대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인 나이테 비교교차분석법(크로스데이팅)을 처음으로 사용하였고, 오랜시간동안 다양한 범위에서 연구한 연구자이다. 그래서 모두가 그를 연륜연대학의 아버지로 부른다. 더글라스는 천문학을 전공한 천문학자였으며 미국의 서남부 지역에서 천문대 설치를 위해서 가장 맑은 하늘을 볼수 있는 지역을 찾기 위해서 미국의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Percival Lowell)를 도와주웠다. 더글라스는 나중에 로웰이 주장하던 화성표면의 패턴이 인위적인 만들어진 수로라는 가설에 공개적으로 지지하지 않으며 로웰과 의견차이를 보였다. 미국의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Percival La.. 2016.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