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륜연대학 27

통계의 기본개념 #1, 자료와 변수 개념

자료(DATA) 양적 자료(정성적 자료, Quantitative data) 정의 :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 예제 : 수고, 흉고직경, 나이테폭, 기온, 습도 등 분석방법 : 평균, 분산, 편차 등 수식을 통하여 산출함 질적 자료(정량적 자료, Qualitative data) 정의 :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데이터 예제 : 지역, 사이트명, 수종, 계절 등 분석방법 : 주로 빈도수(frequency)를 이용함 자료의 구성 개체(Item) 연구 대상 수목 요인(Factor) 개체의 특성들의 집합 수목의 생장량, 날씨 변수(Variable) 요인을 구성하는 요소들 수목의 나이테폭, 수령, 시간, 온도, 습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수(원인변수, 설명하는 변수..

노르르담 대성당, 화재 후 복원을 위한 목재연구 추진 현황

2019년 4월 15일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비극적인 사건으로 프랑스 국민은 물론이고 과학계도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 비극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한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연구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다. 이는 2008년 국내에서도 큰 충격을 안겨주었던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사건과 화재의 원인만 다를뿐 화재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국민의 감정은 동일하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RNS, The French National Center for Scientific Research)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복원을 위한 가능한 분야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으며, 복원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및 협력을 위한 '노트르담 대성당의 복원 위한 과학자협회(https://www.scientifiqu..

연륜연대학 2020.05.17

2006, 서울역사박물관 목가구 조사

한달기간동안 4차에 걸쳐서 서울역사박물관 수장고에 소장된 목제유물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목제유물은 훼손을 하지 않고 나이테를 조사해야되므로 다양한 장비를 사용되었다. 특히, 목재 표면 촬영하는 방법에 접사촬영과 내시경장비로 구석구석 촬영하였다. 옛부터 우리 실생활에서 가장 많은 부분에서 재료로 사용된 목재는 정말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세월의 흔적이 가득담긴 목제품의 향기...

연륜연대학 2020.02.29

2006, 충북도 산림과학박물관(미동산 수목원)

충청북도 청주시 미원면 미동산수목원 내에 위치한 산림과학박물관이 개관하기 전에 소장하고 있는 목제유물(목판, 농기구, 도구, 나막신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금 보아도 건물은 제법 근사하게 잘 지었다. 수집된 목제유물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박물관에서 많은 노력해서 산림에 대한 좀 더 상세하고 잘 표현된 전시공간을 조성하였던 것 같다. 2017년에는 공립 전문과학관으로 지정되었다고 하니, 근처를 지나가신다면 꼭 들려 볼 만하다.

연륜연대학 2020.02.06

Hierarchical Clustering using R

-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 - 거리가 가장 가까운 대상부터 결합하여 나무모양의 - 계층구조를 상향식(Bottom-up)으로 만들어가면서 군집을 형성 1. common.interval 을 이용한 missing Ring을 제외하기 wapd.fh data02 d02 hc02 plot(hc02, cex = 0.6, hang = -1) > rect.hclust(hc02, k=3, border="red") ## 시각화 ## > hc03 plot(hc03, cex = 0.6, hang = -1) > rect.hclust(hc03, k=3, border="red") ## 데이터 만들기 ## kopd.fh

R 시작하다.

통계 분석 프로그램의 대세인 'R'을 이제서야 시작해봅니다. 글자색 빨간색 : 명령문 명령문 실행은 enter key 결과값 Inf = Infinity (무한값) 제곱급 = sqrt(숫자) R을 통해서 한 첫번째 연산 연습 자료 = 객체 object 벡터 = 개체의 한유형이며, 하나의 변수를 뜻함, 동일한 특성과 요소로 구성됨. 함수 funtion - 평균 mean - 파일을 복사해서 R에 넣을때 문자는 조심 - 윈도우와 R이 사용하는 문자 기반이 다르기 때문

방사성탄소연대 분석프로그램, Oxcal

방사성탄소연대는 AD1950년을 기점으로 하여 몇 년 전 인지를 나타내는 연대이다. 방사성탄소연대(yrBP)의 산출에는 리비(Libby)의 14C 반감기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성탄소연대의 달력연대 교정에는 Oxcal4.2.4(교정곡선데이터: INTCAL13)을 사용한다. 달력연대 교정이란 대기중의 14C농도가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반감기 5568년으로 산출해왔던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하여 과거의 우주선강도(宇宙船强度)와 지구자장(地球磁場)의 변동에 의한 대기중의 14C 농도 변동 및 반감기 차이를 교정함으로써 실제의 연대치에 가까운 연대를 산출하는 것이다. 1σ(One Sigma)의 달력연대범위는 OxCal의 확률법을 사용하여 산출한 14C연대 오차에 상당하는 68.2% 신뢰한계의 달력연대범위이며, 2σ(T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