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6

불상의 종류 및 의미

구분 정의 비고 불상(여래상) 부처[如來]의 존상 석가모니불상 釋迦牟尼佛 Sakyamuni 산스크리트어 '샤카무니(Śākyamuni)'란 '샤카(Śaka)족(族)의 성인'이란 뜻 석굴암 불상이 우리나라 최고의 석가불상. 수인[시무외인(施無畏印), 여원인(與願印), 선정인(禪定印), 항마인(降魔印), 전법륜인(轉法輪印)] 비로자나불상 毘盧遮那佛 vairocana 모든 부처님의 진신(眞身:육신이 아닌 진리의 모습)인 법신불(法身佛). 『화엄경』의 교주. 불국사의 금동비로자나불(국보 제26호)이 대표적인 불상 수인(지권인(智拳印)) 아미타불상 阿彌陀佛 Amitāyus Buddha 대승불교에서 서방정토(西方淨土)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법(法)을 설한다는 부처. 무량수불(無量壽佛):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높여 이르..

불교문화 2021.08.26

영주 병참리 갈참나무(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 영주 병참리 갈참나무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산338번지 높이는 13.8m 둘레는 3.39m 정월 대보름에 갈참나무 아래에 모여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비는 제사를 지냄 갈참나무 정보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Fagales 참나무목 > Fagaceae 참나무과 > Quercus 참나무속 > 졸참나무아속 Quercus aliena Blume, 1850. Oriental white oak Galcham oak 槲栎 ナラガシワ Orientalische Weiß-Eiche 2021. 8. 비오는 날 촬영 정현민

천연기념물 2021.08.24

대구 팔거산성 목곽고

□ 팔거산성(대구광역시 기념물) 현황 - 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산1-1번지 일월 - 특징 : 함지산(해발 287.7m) 정상부에 축조된 산정식 산성 □ 발굴기관: (재)화랑문화재연구원 □ 발굴결과 - 석축(石築) 7기, 추정 집수지(集水池) 2기, 수구(水口) 등의 유구 - 삼국시대 목간 16점 출토 (6세기대 축조된 목수지와 신라 목간이 대구지역에서 최초로 출토) □ 추진경과 - 지표조사 : 2015년 - 시굴조사 : 2018년 - 발굴조사 : 2020년 10월부터 ~ □ 집수지 현황 - 크기 : 길이 8.5m, 너비 4.9m 규모의 평면 장방형(바닥 면적 41.8㎡로 산출) - 구조 : 기둥목, 횡판목, 지대목을 사용하여 축조된 목곽형 □ 집수지 목부재 보존처리 계획 - 부재수량 : 약 1..

문화재수리업체 수리능력평가

업데이트 : 2021. 8. 문화재수리업체(종합-보수단청업) 수리능력평가액 (주)태원건설 10,623,352 송도건설(주) 10,361,141 명헌건설㈜ 10,332,630 세헌건설(주) 9,680,320 (주)진수종합건설 8,850,918 주식회사 대륜건설 8,752,325 선혜종합건설(주) 8,341,682 (주)우리문화 8,317,555 주식회사 한들 8,273,639 화성종합건설(주) 7,728,383 이도건설산업 주식회사 7,452,404 신진종합건설(주) 7,138,281 ㈜우리종건 7,039,427 (주)미주건설 6,968,109 금명종합건설(주) 6,835,440 (주) 장청 6,709,471 ㈜선재 6,583,149 (주)성익 6,399,832 ㈜일토종합건설 6,398,749 (주)현영종..

피나무속(Tilia) 분류 및 특징

열매에 포가 달려 있으며, 줄기가 곧게 올라가서 좋은 목재를 얻을 수 있다. 수종 잎의 크기 잎의 털 포편 종분류 분류 KEY 피나무 Tilia amurensis Amur linden アムルシナノキ 3-9 X 3-7 cm 뒷면 회녹색 자생식물 잎의 크기가 작고, 잎 뒷면 털이 모여있는 모총(털묶음) 찰피나무 Tilia mandshurica Manchurian lime マンシウシナノキ 8-15 X 7-15 cm 표면 약간 잔털 뒷면 회색 털 밀생 자생식물 잎의 크기가 크며 좌우 비대칭 보리자나무 재배식물 염주나무 자생식물 구주피나무 (일본 고유종) 재배식물 유럽피나무 재배식물

경기도 사찰건축 문화재 목록

지정종목 문화재명 유형 연대 비고 보물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보물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보물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 보물 안성 칠장사 대웅전 보물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물 안성 석남사 영산전 보물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보물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보물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보물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보물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보물 여주 신륵사 조사당 보물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보물 여주 하리 삼층석탑 보물 여주 창리 삼층석탑 보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국보 여주 고달사지 승탑 보물 파주 공효공 박중손묘 장명등 보물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보물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보물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보물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사찰건축 불전 문화재 목록

List of Buddhist sanctum in South Korea 사찰(寺刹, Buddhist temple) : 승려와 신자들이 거처하면서 불도를 닦고 교리를 설파하는 건축물 혹은 그 소재 영역 - 상가람마(samaghrama) : 산스크리트어, 수행자들의 모임을 뜻하는 상가(samgha)와 거주처를 뜻하는 아라마(arama)가 합쳐진 용어 불교사원(佛敎寺院) 불전(佛殿, Buddhist sanctum) : 본존 및 보살, 호법선신 등을 봉안하는 건물 금당(金堂) : 인도에서 부처님을 빛이 나는 인물이라 하여 부처님을 모신 건물 종목 명칭 소재지 주요연대 비고 국보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전라남도 강진군 국보 영천 거조사 영산전 경상북도 영천시 국보 안동 봉정사 극락전 경상북도 안동시 국보 영주 부석..

소나무과(pinaceae) 계통 분류(4아과 11속)

소나무과 소나무속(Pinus) - 약 115종 카타야속(Cathaya) - 전 세계에서 단일종으로 중국에서 자생 가문비나무속(Picea) - 약 35종 미송속(Pseudotsuga, 더글라스퍼) - 5종 잎갈나무속(Larix) - 14종 노토츠가속(Nothotsuga) - 전세계 : 1종(중국에서 자생) - 长苞铁杉(장포철삼, 중국명), Bristlecone hemlock(영어)으로 불림 - 멸종위기종 솔송나무(Tsuga) - 전세계 : 10종 - 한반도 자생 수종 : 솔송나무(Tsuga ulleungensis – Ulleungdo hemlock, 울릉도에 분포) 황금낙엽송속(금전송속, Pseudolarix) - 전세계 : 1종(중국 동부에 자생) 전나무속(Abies) - 약 50종 유삼나무속(Ke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