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6

무료폰트 공유 : 문화재돌봄체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의 중앙문화재돌봄센터에서 문화재돌봄사업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문화재돌봄체를 공유드립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폰트이기에 어디든지 널리 사용하세요. 상업적으로도 사용가능합니다. 그래서 저작권에 대한 걱정없이 사용 가능한 폰트입니다. 특히 제목으로 쓰면 정말 멋집니다. .

일상이야기 2021.03.22

가시나무아속(Subgenus Cyclobalanopsis) 수목학적 비교

참나무과의 상록성 참나무속인 가시나무아속 중에서 국내에 자생하는 수종들 잎의 톺니 잎의 형태 잎의 뒷면 털 잎맥 붉가시나무 거의 없거나 잎 윗부분에 약간 거치가 있음 긴 타원형, 9-13개 개가시나무 5개 이상 거꿀달걀형 황갈색 털 밀생 11-18개 종가시나무 5개 이상 긴 타원형, 뒷면 회색 황갈색 털 다소 발달 10-11개 가시나무 5개 이상, 이빨모양(느티나무형) 긴 타원형, 뒷면 청색, 털이 없거나 흰색 잔털 16개 참가시나무 5개 이상, 톱니형(졸참나무형) 긴 타원형, 털이 없거나 흰색 잔털,처음에는 털이 있고 흰색가루로 덮여있음 10개 열매 붉가시나무 이듬해 10월 성숙 개가시나무 이듬해 11월 성숙 종가시나무 이듬해 10월 성숙 가시나무 이듬해 10월 성숙 참가시나무 이듬해 10월 성숙 분포..

추천 도서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 궁리출판 신간도서

지은이 : 이선 펴낸곳 : 궁리출판 펴낸일 : 2020년 11월 23일 책 한권이 치악산국립공원 시료채취 출장을 갔다오니 책상에 도착해 있었다. 하루를 제 책상위에서 보낸 책 한권. '식물에게 배우는 네글자' 이 책은 저자이신 이선 교수님께서 책이 나오자마자 보내주셨습니다. 책의 제목이 '식물에게 배우는 네 글자' 제가 하는 일이 수목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하는 업으로 하기에 평소에 많이 느꼈던 부분입니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읽는 동안 많은 부분을 공감했습니다. '4억을 살아온 식물이 터득한 삶을 살아가는 24가지 방식'으로 부제목을 달아주고 싶다. 이 책은 식물이 살아가는 방식에서 배울 수 있는 부분들을 24개 사자성어에 담았다. 이러한 구성도 새롭다. 제목은 식물에 대한 책일듯 하지만 내용에서는 우..

트리클라이밍(등반)의 기초, 로프(자일) 이것만 알고살자!

트리클라이밍하기 위해서 가장 기초적인 지식은 클라이밍에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이해가 기본이다. 사용하는 장비를 이해하지 못하면 가장 중요한 순간에 잘못된 판단 혹은 사고가 일어 날 수 있다. 클라이밍에서 첫번째 장비는 바로 로프(자일)이다. 로프를 다루는데 가장 기본적인 꼭 알아야되는 배워놓자~ 힘의 단위 1N : 1kg의 물체를 1m/sec의 속도로 가속시키는 힘 = 102g 1KN = 102kg 10KN = 1톤 신체가 견딜수 있는 충격력 = 12KN (몸무게의 15배) 로프 종류 동적로프 Danamic rope 신장율 6-8% : 암벽 등반 정적로프 Static rope 신장율 2-3% : 하강시 주로 사용, 동굴 탐사, 구조용 로프 추락충격포인트 사용 로프틑 22KN 이상 로프 내 라인의미 1줄 ..

일상이야기 2020.11.09

통계의 기본개념 #1, 자료와 변수 개념

자료(DATA) 양적 자료(정성적 자료, Quantitative data) 정의 :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 예제 : 수고, 흉고직경, 나이테폭, 기온, 습도 등 분석방법 : 평균, 분산, 편차 등 수식을 통하여 산출함 질적 자료(정량적 자료, Qualitative data) 정의 :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데이터 예제 : 지역, 사이트명, 수종, 계절 등 분석방법 : 주로 빈도수(frequency)를 이용함 자료의 구성 개체(Item) 연구 대상 수목 요인(Factor) 개체의 특성들의 집합 수목의 생장량, 날씨 변수(Variable) 요인을 구성하는 요소들 수목의 나이테폭, 수령, 시간, 온도, 습도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 :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는 변수(원인변수, 설명하는 변수..

노르르담 대성당, 화재 후 복원을 위한 목재연구 추진 현황

2019년 4월 15일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비극적인 사건으로 프랑스 국민은 물론이고 과학계도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 비극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한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연구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다. 이는 2008년 국내에서도 큰 충격을 안겨주었던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사건과 화재의 원인만 다를뿐 화재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국민의 감정은 동일하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RNS, The French National Center for Scientific Research)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복원을 위한 가능한 분야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으며, 복원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및 협력을 위한 '노트르담 대성당의 복원 위한 과학자협회(https://www.scientifiqu..

연륜연대학 2020.05.17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연도 계산법은 주 예수그리스도의 탄생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서력기원(약칭, 서기)이다. 로마자 약어로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AD 1로 표기하며, AD는 Anno Domini (주의 해)로 뜻하는 라틴어의 약자이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나기 전을 BC로 표기하는데 영어 Before Chris의 약자이다. 최근에는 종교적 중립을 위하여 기원후를 CE(공통시대, common Era)로 표기하며 기원후를 BCE(공통시대 이전, before Common Era)로 표기하고 있다. BP년도(Before Present)는 1950년을 기준으로 계산한여 몇년 전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고고학, 지리학 등 다양한 과학에서 과거에 대한 연도를 계산할 때 사용되고 있다. 1940년대 미국..

배움터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