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3

노르르담 대성당, 화재 후 복원을 위한 목재연구 추진 현황 2019년 4월 15일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비극적인 사건으로 프랑스 국민은 물론이고 과학계도 큰 충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 비극에도 불구하고 화재로 인한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연구 계기가 된 것은 사실이다. 이는 2008년 국내에서도 큰 충격을 안겨주었던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사건과 화재의 원인만 다를뿐 화재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국민의 감정은 동일하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RNS, The French National Center for Scientific Research)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복원을 위한 가능한 분야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으며, 복원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및 협력을 위한 '노트르담 대성당의 복원 위한 과학자협회(https://www.scientifiqu.. 2020. 5. 17.
연도계산법, BC AD, BCE CE, BP 기원전 기원후 표기법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연도 계산법은 주 예수그리스도의 탄생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서력기원(약칭, 서기)이다. 로마자 약어로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AD 1로 표기하며, AD는 Anno Domini (주의 해)로 뜻하는 라틴어의 약자이다. 그리고 예수그리스도가 태어나기 전을 BC로 표기하는데 영어 Before Chris의 약자이다. 최근에는 종교적 중립을 위하여 기원후를 CE(공통시대, common Era)로 표기하며 기원후를 BCE(공통시대 이전, before Common Era)로 표기하고 있다. BP년도(Before Present)는 1950년을 기준으로 계산한여 몇년 전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고고학, 지리학 등 다양한 과학에서 과거에 대한 연도를 계산할 때 사용되고 있다. 1940년대 미국.. 2020. 4. 29.
2006,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그리고 대장경판(팔만대장경) 해인사 장경판전(海印寺 藏經板殿)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국보 제52호 / 세계유산 가야산 중턱에 위치한 해인사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장경인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Tripitaka Koreana, 흔히 팔만대장경이라고 불리웠음)을 약 750여년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이 있는 삼보사찰 중 법보 사찰이다. 팔만대장경은 어려서부터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국보 1호 숭례문보다 더 자주 듣는 단어가 아닐까 싶다. 아니 그 어떤 문화유산보다 가장 많이 듣고 사랑스럽게 생각하는 문화유산임이 틀림없다. 대장경은 불교의 경전으로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구성은 부처님.. 2020. 3. 17.
공직유관단체 목록(2020.1.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재정지원 또는 임원 선임⋅등의 승인을 받는 등 공공성이 있는 기관⋅단체를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하여 공직윤리제도를 적용하기 위함 지정 법적근거 공직자윤리법 제3조의2 및 동법시행령 제3조의2 지정대상 공기업, 한국은행 및 지방공기업법에 의한 지방공사⋅지방공단 중앙행정기관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임원을 선임⋅승인하는 기관⋅단체 정부⋅지방자치단체로부터 연간 10억원 이상의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 정부⋅지방자치단체 위탁 및 대행업무 수행기관⋅단체 중 예산규모가 100억원 이상인 기관⋅단체 정부⋅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액 재출자⋅재출연을 받는 기관⋅단체 위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그외 공공기관 1. 한국은행 1 한국은행 2. 공기업 1 (주)강원랜드 2 (주)에스알 3 그랜드코.. 2020. 3. 4.
2006, 서울역사박물관 목가구 조사 한달기간동안 4차에 걸쳐서 서울역사박물관 수장고에 소장된 목제유물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목제유물은 훼손을 하지 않고 나이테를 조사해야되므로 다양한 장비를 사용되었다. 특히, 목재 표면 촬영하는 방법에 접사촬영과 내시경장비로 구석구석 촬영하였다. 옛부터 우리 실생활에서 가장 많은 부분에서 재료로 사용된 목재는 정말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세월의 흔적이 가득담긴 목제품의 향기... 2020. 2. 29.
2006, 서산 개심사 대웅전 보물 143호 瑞山 開心寺 大雄殿 마음을 연다는 뜻의 개심(開心)사는 충남 서산시 운산면 상왕산 자락에 위치한다. 개심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에 다포식 건축물로 크지 않는 건물이다. 특히, 공포을 구성하는 살미(건물 정면으로 길게 나오는 부재)의 앙서가 아래로 큰 곡을 갖고 있다. 내게 유독 눈에 보이는 것은 대웅전 왼쪽편 뒷 언덕에 향나무 한그루가 있다. 가늘게 길게 쭈욱 하늘을 서있다. 대웅전 이력 개심사 대웅보전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현재의 건물은 1484년(성종 15년) 중수하여 전해지며, 그 이후로 1644년(인조 22년) 중창, 1910년(숙종 36년), 1941년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남겨져 있다. 2016년에 다시 찾아간 서산 개심사 대웅전 2020. 2. 16.
2006,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은 건물의 이력은 1105년 원진국사가 중창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효종 5년(1654년) 2월 8일에 화재에 의해 전소되고 그 이듬해 1655년 중건(상량문 종도리 묵서)하였다. 영조 49년(1773년)에 중수하였고, 1935년 주지 장호운이 수리하였다. 2005년에 지붕기와 누후와 퇴락으로 누수가 발생하고 추녀가 처지는 현상으로 보수공사가 시행되었으며, 수종 및 연륜연대 측정을 위해 총 117점의 시료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655년에 중건되었을 당시의 기둥, 보, 도리, 장여 등 주요 부재가 남아있었으며, 1675~1678년 사이에 지붕부의 수리가 있었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첫 번째 벌채연대는 최외각 절대연도가 1651년(만재)~1654년(만재)으로 주요 구조재인 보, 기둥, 도리.. 2020. 2. 15.
2006,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숲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에는 조선시대 숙종(肅宗, 1661 ~ 1720년) 때부터 '황장봉산'을 지정하여 고급 목재를 생산하기 위에 특별히 관리하였다. 황장목(黃腸木)은 목재의 심이 누렇다는 뜻 그대로, 소나무 중에서 황색의 심재부분이 넓고 하얀색의 변재가 좁으며 나이테가 조밀한 특성을 갖으므로 목재의 재질이 균일하여 최고의 목관재로 사용하였다. 황장목은 바로 조선시대 임금의 목관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목재로 옛부터 매우 귀하게 여겨왔다. 바로 울진 소광리는 황장봉산 중에서 지금까지 거수(巨樹)가 잘 남아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이곳은 소나무의 유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인에게 비공개하였다가 2007년 무렵부터 공개를 시작하였다. 공개하기 전 년도에 우리는 울진 소광리 소나무 및 통고산 지역 소나무에 .. 2020. 2. 15.
침엽수재의 식물계통 분류 침엽수재는 씨가 겉으로 들어나 겉씨식물 중에서 구과식물(Conifers, 솔방울 달리는 나무), 은행나무(Ginkgo biloba), 암보렐라(Amborella trichopoda, 최초의 속씨식물)이 포함한다. 침엽수재는 일반적으로 수분의 이동과 지지기능을 함께 하는 양끝이 뾰족하게 막힌 가늘고 긴 파이프 형태의 헛물관(가도관, Trachieds)이 90% 이상으로 이루어졌다. Christenhusz et al. (2011) 겉씨식물(gymnosperm, 나자식물문)의 분류체계에 의한 유전자분석 자료와 형태자료를 기반으로하여 나자식물을 4아강 8목 12과로 구분하였다. 구분 아강(Subclass) 목(Order) 과(Family) - 소철아강 Cycadidae 소철목 Cycadales 소철과(Cycad.. 2020. 2. 7.
2006, 충북도 산림과학박물관(미동산 수목원) 충청북도 청주시 미원면 미동산수목원 내에 위치한 산림과학박물관이 개관하기 전에 소장하고 있는 목제유물(목판, 농기구, 도구, 나막신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금 보아도 건물은 제법 근사하게 잘 지었다. 수집된 목제유물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박물관에서 많은 노력해서 산림에 대한 좀 더 상세하고 잘 표현된 전시공간을 조성하였던 것 같다. 2017년에는 공립 전문과학관으로 지정되었다고 하니, 근처를 지나가신다면 꼭 들려 볼 만하다. 2020. 2. 6.
2006. 목재문화재의 수종과 연륜연대에 관한 학술대회 일시: 2006년 3월 18일(토) 13:30 ~ 18:00 장소: 국립대구박물관 시청각실 목재조직 특성과 목질문화재의 수종분석(경북대 박상진 명예교수) 법주사 대웅보전 목가구재의 연륜연대 및 수종분석(충북대 박원규 교수) 2006년에 박상진 교수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박상진 교수님은 1990년 무령왕릉의 목관재가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금송으로, 미상은 목재편 1점이 삼나무임을 밝히며 일반인들에게 목재과학자로써 가장 유명하시고, 목재조직학이라는 학문의 기반을 다지졌다. 지금까지도 대학교에서 교재로 쓰고 있는 '목재 조직과 식별'의 공저자이시다. 또한, 목재 및 수목에 관한 수많은 교양도서를 집필하셔서 전공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소중한 지식을 전해주시고 계신다. 2020. 2. 6.
첫 현장조사, 국보 1호 숭례문 2005년 숭례문 정밀실측조사 제2차 연륜연대분석을 위한 현장조사가 첫번째 출장이었다. 연구실 막내의 삶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숭례문은 당시 석축 하부를 발굴하며 초기 숭례문의 기단이 1m 이상 아래 있었음이 확인되었고, 이때 철엽문에 대한 연륜연대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렇게 숭례문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2020. 2. 3.
[연륜연대분석 방법] #1. 시료(샘플) ID 정의 시료명 정의하기 (SAMPLE ID) 연륜연대분석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프로그램(ARSTAN, dplR 등)에서 분석을 위한 기초단계로써 채취한 시료에 대한 명확한 ID를 정의하여야 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규칙 하나, 전체 시료명은 8자리로 한정한다. 연륜연대학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DOS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프로그램부터 통계프로그램 R까지 다양하게 사용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8'자리로 정해야지 호환이 된다. 특히, Cofecha, ARSTA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그렇다. 규칙 둘, 시료명의 구성요소는 사이트명(site), 수목명(tree), 코어명(core) 시료명에 들어가야 될 기본 요소는 사이트명, 수목명 혹은 부재명, .. 2020. 2. 3.
생장추 보수(Sharpening an increment borer by Chhin Lab.) A short how-to video on the proper techniques for sharpening an increment borer using an increment borer sharpening kit. It is not recommended that you over-sharpen your increment borer (this could make the bit brittle and prone to breaking), you should only sharpen it if it needs to be sharpened. Remember: Clean your increment borer frequently (using a gun cleaning kit) and apply WD-40 to preve.. 2020. 2. 3.
해부학적 관찰을 위한 목재 절편 제작(WLS, youtube) Quantifying anatomical wood features in digital images_WLS, youtube his instruction film gives and overview of how to quantify anatomical features in digital images, presents guidelines and pitfalls, and introduces different anatomical metrics used for environmental research. Citation: G von Arx, A Stritih, K Čufar, A Crivellaro, M Carrer. 2015. Quantitative Wood Anatomy: From Sample to Data for.. 2020.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