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g115

소나무는 제대로 알기, 두번째 한반도의 소나무 소나무 제대로 알기, 한반도에 자라는 소나무속 수종들 아속(Subgenus) 절 (Section) 아절(Subsection) 종명 잎수 수고 직경 분포지역 및 특징 Pinus Pinus Pinus 소나무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2개 36m 150-180m 북부의 아고산지대와 산 정상부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자생 및 식재 금강소나무 2개 36m 150-180cm 강원도 금강산에서부터 경상북도 조령지역까지 분포 반송 2개 6-7m 전국의 표고 1,300m이하에서 자생하고 일본과 만주에도 분포한다. 곰솔 black pine Pinus thunbergii 2개 40m 50-80cm 중남부의 섬, 해안가의 산지 곰반송 2개 20m 100cm 제주도에서 표고 500m이하의 산기.. 2019. 1. 18.
소나무는 제대로 알기, 첫번째 소나무의 족보 소나무의 정체를 밝히자. 소나무의 이름을 밝혀보자! 우리나라가 위치한 한반도에 자라는 대표적인 수목인 '소나무'는 일반적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내륙쪽에 자란다고 하여 '육송' 이라고 불르기도 하며, 수피가 붉다고 하여 '적송' 이라고 부른다. 영어로 'Japanese red pine'로 불리고 있다. 소나무가 한반도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러시아에도 자생하며, 서양에 처음 소개된 것이 네덜란드 과학자 von Sieboold가 1823년 일본 나가사카 부근의 작은 섬에 파견되었때 수집한 자생 동식물을 통해서 였기에 "red pine" 앞에 'japanese' 가 붙어서 불리우게 되었다. 하지만 2015년 무렵부터 학계를 비롯한 산림청에서 'Korean red pine'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먼저 우리가.. 2019. 1. 12.
방사성탄소연대 보정곡선 방사성탄소연대 보정곡선 OxCal c4 3.2 _ IntCal13 atmospheric curve(Reimer et al. 2013) 2019. 1. 2.
국가계약법 수의계약 금액 및 추정가격 정의 국가기관이 소액수의 견적입찰로 수의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6조제1항제5호 “가”목 2)에 따르면 “추정가격이 2천만원 이하인 물품의 제조·구매계약 또는 용역계약”의 경우에는 계약의 목적·성질 등에 비추어 경쟁에 따라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로 보아 수의계약이 가능토록 규정 추정가격이라 함은 지방계약법령상의 정의와 마찬가지로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을 말하므로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2천2백만원까지는 수의 계약이 가능할 것 2018. 9. 19.